뷰페이지

전통사회 낭만·목가적 노인상은 ‘신화’일 뿐이다

전통사회 낭만·목가적 노인상은 ‘신화’일 뿐이다

입력 2012-10-13 00:00
업데이트 2012-10-13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년의 역사】 슐람미스 샤하르 외 6인 지음

늙음과 죽음. 정상적인 삶을 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겪게 되는 과정이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인간 삶의 끝 부분인 노년을 연구하는 학문은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다고 한다. 가정과 사회에서 권위를 누리고 존경받는 존재였던 노인이 산업화, 도시화 등 근대화를 거치면서 입지가 크게 축소됐다는 게 일반적으로 알려진 통념. 정말 그럴까.

‘노년의 역사’(팻 테인 엮음, 슐람미스 샤하르 외 6인 지음, 안병직 옮김, 글항아리 펴냄)는 노년의 삶이 아주 다양하고 복합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다.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노년의 사회사와 문화사를 조망한 책. 7명의 역사가가 고대 그리스, 로마, 중세, 르네상스 등 시대별로 나눠 역사 속 노인의 삶을 들춰낸 시각이 독특하다. 특히 노년의 위상과 존재가 알려진 것과는 달리 그리 단순하지 않다는 사실들이 다양한 사례를 통해 풀어진다.

무엇보다 눈길을 끄는 주장은 ‘전통사회의 낭만적이고 목가적인 노인상은 신화일 뿐’이라는 것이다. 저자들의 주장대로라면 아주 먼 옛날 노인들이 존경과 배려 속에서 행복한 만년을 보냈을 것이라는 생각은 잘못이다. 셰익스피어가 쓴 ‘리어왕’은 그 일례로 등장한다. 노후에 자식에게 재산을 넘긴 뒤 얹혀살았을 때 겪는 굴욕과 냉대가 ‘리어왕’의 모티브다. 연륜과 경험을 전수하며 국사에 적극 관여했을 것이라는 전통적 노인상도 소수의 탁월한 노인들이 만들어낸 환상일 뿐이며 고대나 중세에도 노인 집단이 정치권력을 장악한 경우는 드물다는 게 저자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그러면 노년의 삶은 무의미하고 암흑과도 같은 것일까? 서기 1세기 사람 세네카는 이런 말을 남겼다. ‘모든 이에게 노년이 하나의 유형만 있는 것은 아니다.’ 책에서도 그런 교훈은 곳곳에 깔려있다. “노년은 많은 것을 동반한다. 일부는 좋은 것, 일부는 나쁜 것이다.” 7세기 초 세비야의 대주교 이시도루스가 정의한 노년상이 인상적이다. 그에 따르면 노인이 되면 쾌락과 욕망으로부터 벗어나 삶의 경험에서 터득한 지혜로 현명한 조언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노년은)그것이 초래하는 신체의 장애,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혐오 측면에서 비참하기 때문에 나쁘다.

책의 말미에 붙인 보통 노인들 인터뷰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책을 번역한 안병직 서울대 서양사학과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역사적으로 어느 시대에나 노년의 삶은 빈부와 계급, 성별, 도농 주거지역 등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으며 노년의 경험도 개별 노인의 경제적 지위, 신체적 건강, 사회적 적응 능력 등에 따라 대단히 상이한 것이었다.” 결국 노년의 삶은 자기 하기 나름이라는 것이다. 2만 8000원.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2-10-1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