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요리사 시인’ 눈에 비친 노동자

‘요리사 시인’ 눈에 비친 노동자

입력 2013-01-02 00:00
업데이트 2013-01-0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광선, 창비 신인상 등단 9년만의 시집 ‘붉은 도마’

“애 낳고 결혼한 거다.”

최근 시집 ‘붉은 도마’(실천문학 펴냄)를 펴낸, 전화기 너머의 시인 김광선(52)은 이렇게 말하고 낄낄거렸다. 흑룡의 해 마지막 날인 지난달 31일. 그는 충남 당진 ‘당진냉면갈비’집 요리담당 실장으로 여전히 갈비를 뜨고 있었다. 2003년 실천문학 창비 신인상으로 등단한 김광선 시인이 9년 만에 시집을 내놓았다.
이미지 확대
신인 김광선
신인 김광선


‘애 낳고 결혼했다더니 순서를 잘 지켰군’ 싶을 터. 그러나 사실 그는 등단에 앞서 2000년에 시집 ‘겨울삽화’를 먼저 내놓았었다. 따라서 그의 세속적인 표현이 맞는 셈이다.

그는 “1994년에 창비에 응모 했다가 최종심에서 물을 먹었다. 그 뒤로 등단을 포기하고 조정환 평론가가 운영하던 출판사 갈무리에서 시집을 먼저 냈었다. 그러다 다시 9년 만에 마음이 바뀌어 등단에 도전했는데 잘 되었다”고 했다.

고등학교 2학년이던 1978년에 출생지인 전남 나로도를 떠나 통일호를 타고 서울로 올라온 열일곱 살의 소년은 ‘도시의 노동자’로 살았다. 첫 직장은 화장실용 화장지 속의 종이관을 만드는 일이었다. 첫 월급은 1만 8000원. 산동네 허름한 쪽방에서 자취하며 50원짜리 빵과 라면, 어묵볶음을 신물나게 먹었다. 공장을 떠나서 음식점에 취직했다. 손은 뻘겋게 퉁퉁 불고 몸은 녹초가 됐었다. 이런 경험이 훗날 요리사가 돼 곱창집을 운영하는 밑천이 됐다. 일자리를 찾아 전국을 떠돌았던 그는 술값과 밥값을 아껴 책을 샀고, 책을 읽었다. 공장을 옮길 때마다 기술은 늘고 월급은 올라갔지만 돈의 가치는 그만큼 떨어졌으니 노동하는 삶은 더 개선되지 않은 채 쳇바퀴만 돈 셈이다. 첫 식당의 주방 선배가 “식당에 한 번 발을 들인 사람은 반드시 식당으로 돌아온다”고 예언했듯, 그때로부터 30년이 지나 그는 요리사로, 지난해 7월 옮겨간 당진에서 살아가고 있다. 요리사의 체험과 경험, 그리고 감각을 살려 시집 ‘붉은 도마’도 내놓았다.

“요리사로 살면서 사교적이질 못해서 술 먹고 외로우면 일기처럼 시를 썼다가 펴냈다. 더 잘하려다보니 생애 두 번째 시집이자 등단 이후 첫 번째 시집이 늦어졌다”고 했다. 그러나 더 솔직한 표현은 등단작품인 연작시 ‘조리사 일기’ 7편을 뛰어넘는 시들을 묶어내려고 욕심을 내다가 늦어진 것이다.

제목도 붉은 도마인 것처럼 그의 시집을 열어보면 살점이 뚝뚝 떨어지고 피가 튀고 뼈가 으스러지는 듯한 ‘날 것’의 생생한 이미지와 노동의 고단함이 고스란히 들어있다.

“새라면 아마도 날개였을 것이다(중략) /어깨죽지 들여다본 까만 필름은/ 형광 불빛에 비춰지자/ 말간 뼈 많이 뒤틀려 있다.”(‘날개’ 중에서)

“부위별로 나뉘어져버린, 내 몸의/ 몇 배가 되는 동물의 사체를 분해하면서/ 아랫배가 다 닳도록 그 자리 거슬러 올라간/ 연어 떼를, 턱뼈가 빠지도록/ 몸부림치다가/ 둥둥 떠가며 불곰의 밥이 되고/ 새 떼의 밥이 되어/ 발기발기 찢어지는 모습을 떠올린다”( ‘힘줄’ 중에서)

그의 시는 아름답게 꾸미지 않은 가운데 진정성을 드러낸다. 가식 없이 진솔한 노동의 인생이다. 그는 문학수업을 많이 못 해서 기교적인 면에서 떨어진다고 겸손해한다. 그러나 그의 문학론은 그 나름대로 오만한데 “문학은 제 형편대로 만드는 것이다. 문학엔 정석이 없다”고 했다. 시간을 내어 당진냉면갈비집에 가보고 싶다.

문소영 기자 symun@seoul.co.kr

2013-01-02 2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