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자와의 차 한잔] ‘식탁위의 한국사’ 펴낸 주영하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

[저자와의 차 한잔] ‘식탁위의 한국사’ 펴낸 주영하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

입력 2013-09-07 00:00
업데이트 2013-09-07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세기 한국밥상은 온갖 문화 뒤섞은 비빔밥

“냉면에는 20세기 한국 현대사가 압축돼 있습니다.” 최근 ‘식탁위의 한국사’(휴머니스트)라는 책을 낸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20세기 한국을 대변하는 음식이 무엇이냐’고 묻자 이렇게 말했다. 그는 냉면이 냉장고 등의 개발로 겨울 음식에서 여름 음식으로 변했고, 평안도와 황해도 북부 지역에서 시작돼 이동과 이주를 통해 전 국민의 음식이 됐으며, 세계화로 베이징과 도쿄를 비롯한 해외에서도 찾는 음식이 되는 등 대한민국의 지난 100여년간 변화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음식은 여러 문화가 뒤섞여 생긴 혼종의 산물인 만큼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g@seoul.co.kr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음식은 여러 문화가 뒤섞여 생긴 혼종의 산물인 만큼 열린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g@seoul.co.kr


그는 음식을 식품영양학, 조리학이라는 미시적 관점에서 벗어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거시적이고 종합적으로 보려는 음식인문학자다. ‘음식인문학’ 등 여러 권의 저서가 있으며 이번에 낸 책에선 음식으로 한국 현대사를 들여다봤다. 그는 지난 세기를 서양과 중국·일본 음식이 들어오기 시작한 1880~1900년대, 근대적 외식업이 정착한 1900년대 이후부터 1940년대 초반, 전쟁으로 인구가 대규모로 이동하고 밀가루가 널리 보급된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중반, 이농(離農)과 도시화가 본격화된 1960년대 말부터 1980년대, 도시화가 완성되고 세계화 시대에 진입한 1990년대 등 다섯 시기로 구분한다. 이 시기 음식문화의 특징은 근대적 외식업이 자리 잡은 것. 아는 사람의 집에서 밥을 먹는 식객(食客)이 아니라 돈을 주고 사 먹는 고객(顧客)의 시대가 된 것이다. 외식업소는 전통적인 국밥집을 시작으로, 일제강점기의 명월관으로 대변되는 조선요리옥, 해방 이후 서민들의 애환을 달래 준 대폿집으로 변화한다.

그는 20세기 한국 음식을 식민주의, 전통주의, 민족주의, 국가주의, 세계 체제, 세계화 담론이 뒤섞인 혼종의 산물로 본다. 식재료와 조리법의 이동, 사람들의 이주와 교류도 음식의 문화적 혼종을 가속화했다. 이 때문에 한국 음식이 최고라는 편협한 우월주의는 경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한류 등에 편승해 전주 비빔밥이 조선 왕가에서 먹던 건강식이라며 음식을 역사로 만들고 그러한 음식의 역사를 진리인 것처럼 여기려는 사회 일각의 풍토에 대해선 고개를 가로젓는다.

“2020년이 우리 음식문화에서 하나의 변곡점이 될 것입니다. 외식업계, 식품업계 등은 이 시기를 관심 있게 지켜봐야 사업에 성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는 1990년대생들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살고 외국생활도 접해 봤을 뿐만 아니라 학교급식으로 전통적 식단이 강요된 세대라면서 이들이 사회에 진출하는 2020년에는 음식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는 등 변화가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여성의 사회 참여가 확산되면서 아침도 밖에서 사 먹는 추세로 바뀔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음식이 짜고 매워지는 등 자극적으로 변하는 것에 대해서도 우려했다. 1970년을 전후해 도시화로 호남 인구의 전국적 이동이 많았던 데다 고추 등 양념류의 수입으로 양념값이 싸지면서 호남 음식이 널리 보급됐다면서 이로 인해 담백한 음식맛이 많이 사나워졌다는 것이다. 자극적인 음식은 건강에도 좋지 않은 만큼 심심하고 깊이 있는 맛을 살리는 데 관심을 가져 줄 것을 주문했다.

임태순 선임기자 stslim@seoul.co.kr

2013-09-07 2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