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실의 공감 능력을 키우는 문학의 힘

현실의 공감 능력을 키우는 문학의 힘

입력 2013-09-28 00:00
업데이트 2013-09-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적 정의] 마사 누스바움 지음/박용준 옮김/궁리/284쪽/1만 5000원

저자인 마사 누스바움은 세계적으로 저명한 정치·법철학자다. 고전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하버드와 브라운대 석좌 교수를 거쳐 현재는 시카고대 철학과 등에서 법학과 윤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미국의 외교 전문지 ‘포린 폴리시’가 선정하는 ‘세계 100대 지성’에 두 차례 꼽히기도 했다.

그의 사상적 지형은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마르티아 센과의 공동 작업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1986년부터 7년간 유엔 산하 세계개발경제연구소에서 삶의 질 평가 방법을 연구한 두 사람은 국민총생산(GNP)이나 소득 수준 같은 숫자로 행복을 환원시키는 경제적 공리주의를 비판한다. 경제적 공리주의는 “삶의 복잡성을 ‘도표 형식’으로” 나타내려는 수단에 불과하며 사회의 불평등과 “건강, 교육, 정치적 권리, 민족·인종·젠더의 관계성 등”에 대해서는 설명하는 바가 없다.

찰스 디킨스의 소설 ‘어려운 시절’에 등장하는 그래드그라인드는 공리주의적 인물의 표본이다. 그는 사실과 계산만을 중시하며 “인간 존재의 삶을 정해진 해답이 있는 수학 문제로 쉽게 간주”하고, 감정과 상상력을 쓸모없는 것이라고 여긴다. 누스바움은 그래드그라인드를 통해 공리주의를 풍자하는 디킨스의 소설이 독자가 현실을 성찰할 수 있게 만드는 통로라고 본다. “삶이란 총합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한 폭의 그림을 그리는 것”이라는 점을 문학이 보여 준다는 것이다.

누스바움은 더 나아가 “서사문학에 대한 사유가 공적 추론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한다. 소설을 통해 독자는 개인적 경험을 공동체 안에서 논의하게 되며 “특정 형태의 재판관이 되어 무엇이 옳고 적합한지” 판단하게 된다. 미국에서는 1995년 출간된 이 책에서 누스바움은 소설이 의미 없는 허구에 불과하다는 주장을 반박하며 문학의 쓸모 있음을 적극적으로 옹호한다. 만약 그래도 문학을 뜬구름 잡는 공상이라고 여기는 독자가 있다면? 대답은 이렇다. “이러한 결함에 대한 해결책은 공상의 부인(否認)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지속적이고 인간적인 함양에 있다.”

배경헌 기자 baenim@seoul.co.kr

2013-09-28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