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교만과 탐욕 중에 더 큰 악덕은 무엇일까?

교만과 탐욕 중에 더 큰 악덕은 무엇일까?

입력 2014-05-31 00:00
업데이트 2014-05-31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 최악의 미덕, 탐욕/스테파노 자마니 지음/윤종국 옮김/북돋움/222쪽/1만 4000원

인간의 악덕으로 꼽히는 교만과 탐욕 중에서 더 큰 악덕은 무엇일까. 협동조합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경제학자 스테파노 자마니(이탈리아 볼로냐대 경제학과 교수)의 관점에서 볼 때 탐욕이 교만을 단연 능가한다. 경제적 환경에서 탐욕만큼 ‘이성의 타락’을 보여주는 예도 드물다고 저자는 간파했다.

책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중세, 상업혁명, 르네상스, 계몽주의 시대, 권위주의 시대, 포스트모던 사회에 이르기까지 시대마다 경제담론의 주도권을 쥔 주체는 누구이며 그들이 탐욕을 어떻게 이용했는지 살핀다. 고대 후기에 탐욕은 모든 악의 뿌리, 즉 다른 모든 악덕을 자라게 하는 근원으로 여겼다. 그러다 중세 초기엔 ‘신처럼 존재’하려는 욕망인 교만이 악의 기원으로 대두됐다. 11세기 로마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의 교회개혁과 함께 시작된 상업혁명으로 다시 탐욕이 교만을 밀어냈다. 도시의 탄생, 교통·교역의 발달로 도시적인 탐욕에 사치까지 가세했다. 15세기 휴머니즘의 등장은 탐욕이 본성을 거스르는 것이 아닐 뿐 아니라 탐욕가를 ‘강인하고, 현명하고, 근면하고, 엄격하고, 위대한 정신과 대단한 지혜를 소유한 자’로 정의했다. 18세기 제러미 벤담의 공리주의에 이르면 탐욕은 거의 미덕이 된다. 하지만 20세기 후반 세계화의 바람과 정보·통신기술 혁명이 밀려오면서 탐욕은 필요와 욕심을 구분하게 만들고, 결핍을 낳는 원흉으로 다시 도마에 올랐다.

탐욕이라는 악덕의 역사를 역사적 상황에만 연결하지 않고 사회문화적·병리학적으로 고찰한 점이 여느 경제서와 차별성을 갖는다. 탐욕의 위험성을 에둘러 알리면서 독자들이 스스로 성찰하고 판단하도록 한다. “개인의 탐욕을 공공의 이익으로 바꾸는 것”이며 “아무런 대가 없는 선물”, 즉 나눔이 우리 사회의 진정한 경제동력이자 참 행복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05-31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