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군사주의에 갇힌 젠더 억압과 폭력의 원동력

군사주의에 갇힌 젠더 억압과 폭력의 원동력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5-05-29 18:14
업데이트 2015-05-30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사주의는 어떻게 패션이 되었을까/신시아 인로 지음/김엘리·오미영 옮김/바다출판사/328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미국 클라크대학교 여성학과 연구교수인 신시아 인로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군사주의가 어떻게 젠더를 이용하는지를 파고든다. 저자에 따르면 군사주의는 ‘남성성’과 ‘여성성’을 제멋대로 선취하고 이를 권력의 위계질서하에 가둔다. 이는 한 사회는 물론 전 지구에서 민주화의 파멸을 불러온다는 것이다.

군사화된 사회에서 고착화된 ‘남성성’과 ‘여성성’의 경계는 국가주의와 전쟁, 폭력을 영속하게 하는 기반이다. 남성이 남성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은 군대이며, 가부장적인 사회는 남성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전쟁에 몰두한다. 여기서 배제된 여성성은 착취와 억압의 또 다른 이름이다. 2006년 아부 그라이브 수용소에서 미군 여성이 이라크 남성 포로들을 발가벗긴 채 조롱하는 사진이 공개돼 세계를 경악하게 했다. 저자는 군인들이 이라크 포로를 ‘여성화’했다고 분석한다. 포로들이 이를 통해 수치심을 느끼도록 한 전시 권력의 의도라는 것이다.

저자는 ‘페미니스트 호기심’(여성주의적 관점)을 발휘해 군사주의와 젠더의 연결고리를 끊어내야 한다고 말한다. 군사력 강화가 곧 안보라는 뿌리깊은 인식을 넘어서, 개인적이고 일상적인 영역에서부터 ‘탈군사화’할 것을 주장한다. 각 국가의 사례들이 두루 언급된 가운데 한국도 빠지지 않는다. 저자는 ‘대한민국은 군대다’(2005)를 통해 한국 사회의 뿌리깊은 군사주의를 비판한 권인숙 명지대 교수의 논의도 끌어들였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5-05-30 1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