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수치 경쟁에 폐허가 된 상아탑

수치 경쟁에 폐허가 된 상아탑

박록삼 기자
입력 2015-07-03 17:54
업데이트 2015-07-03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폐허의 대학/빌 레딩스 지음/윤지관·김영희 옮김/책과함께/368쪽/2만 2000원

오랜 시간 대학은 상아탑(象牙塔)으로 통했다. 애초 성서에서 미인의 희고 매끄러운 목줄기를 상아탑으로 비유했듯 대학은 아름다우면서도 범접하기 어려운 지적, 정신적 활동을 펼치는 공간이었다. 물론 1970년대 한국 사회에서 슬픈 우스갯소리로 이름지어진 ‘우골탑(牛骨塔)’은 농민들이 자식 교육을 시키기 위해 농사 밑천인 소를 팔아서라도 대학 공부시켜야 했던 현실을 반영했다.

이미지 확대
12세기 르네상스 시절 유럽에서 대학이 첫 모습을 드러낼 때만 해도 대학은 고도의 자치권을 가지고서 연구하는 학자를 양성하는 목적이 주를 이뤘다. 건물과 공간의 존재 여부는 중요하지 않았다. 교수조합, 학생조합, 교수와 학생 공동의 연구자 조합 등 지식인 집단이 바로 대학이었다. 공간을 여기저기 빌렸고, 학생들은 바닥에 앉아 토론하며 공부했다. 19세기 들어서는 민족국가의 발달에 따라 민족문화를 지키고 재생산하는 원천으로서 기능했다.

하지만 21세기에는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 대학의 모습들은 더이상 초기의 형태와 같지 않다. 자본의 첨예한 이해관계가 대학사회 운영의 지배질서가 됐다. 나아가 더이상 겸연쩍어 하거나 부끄러워하지도 않으면서 스스로 기업처럼 이윤추구를 제1의 가치로 내세우는 모습도 보일 정도가 됐다. 대학이 전통적으로 추구해온 이성과 학문의 발전, 고유문화를 수호하는 기능은 희미해진 반면 대학평가 순위, 취업률, 연구비 규모, 외국인 학생 비율 등과 같은 각종 수월성 지표가 대학의 가치를 매기는 새로운 기준이 됐다.

심지어 옥스퍼드대 뉴 칼리지와 같은 유서 깊은 기관조차 채용 광고를 비롯한 모든 공고문에서 ‘수월성에 전념하겠다’는 내용을 넣고 있다. 캐나다 몬트리올대 비교문학과 부교수로 재직했던 빌 레딩스(1960∼1994)는 저서 ‘폐허의 대학’에서 이런 대학의 상황을 두고 수월성만 추구하는 몰락기를 맞았다고 신랄하게 비판한다. 대학 본연의 기능을 저버리고 수치와 효용성만 따지는, ‘기업화’돼 버린 대학의 모습은 책 제목과 같은 ‘폐허의 대학’일 뿐이라는 것이다. 34세의 젊은 나이에 비행기 사고로 세상을 뜬 저자는 대학이 ‘폐허’가 된 현실을 인정하되 그 폐허 곳곳에서 질문하기를 멈추지 말자고 제안한다. 그는 “우리는 대학이 폐허가 된 기관임을 인정해야 하며, 한편 낭만적 향수에 의지하지 않으면서 그 폐허에 거주하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고 대안적 성찰의 필요성을 말한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7-04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