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읽어라, 청춘] 제러미 리프킨의 미래 전망

[서울대 지망생의 책장-읽어라, 청춘] 제러미 리프킨의 미래 전망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5-08-09 17:46
업데이트 2015-08-10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은 경제 주체가 인터넷 통해 끝없이 연결… 한계비용 제로 사회로

미국의 행동주의 철학자 제러미 리프킨(70)이 최근 세계 경제체제 변화의 단초로 주목한 것은 사물인터넷이다. 리프킨은 사물인터넷이 작고 협력적인 경제 시스템, 즉 ‘한계비용 제로 사회’를 낳는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9월 한국에 내놓은 그의 책 제목이기도 하다.

‘한계비용 제로 사회’란 기술 발전 덕분에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드는 데 비용(한계비용)이 거의 안 드는 사회다. 컴퓨터와 인터넷이 정보 생산과 유통에 드는 비용을 ‘0’에 가깝게 만들자 인터넷에는 정보를 나누는 공유 문화가 자리잡았다. 리프킨은 이런 일이 통신, 물류, 에너지 분야 등에서도 일어난다고 봤다.

이런 변화는 새로운 경제체제를 낳는다. 자본주의 경제를 바탕으로 나온 공유경제다. 지난해 10월 한국을 방문한 리프킨은 “19세기에 자본주의와 사회주의가 등장한 이후 처음 등장한 새로운 경제체계의 면모가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공유 경제가 자본주의를 본질적으로 바꾼다고 전망했다.

한계비용이 제로가 되는 것은 분산된 지역 경제 주체(작은 가게 또는 기업)에 새로운 기회임이 분명하지만, 구글이나 페이스북처럼 중앙집중적인 거대 기업에도 기회임은 틀림없다. 이들은 이미 정보 유통 분야에서 거대한 독점 기업이 됐다. 리프킨은 이런 경우 범정부적인 규제 기관이 나서 이들을 규제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같은 기업은 뉴스나 지식, 흥밋거리가 유통되는 공공재를 통해 중앙집중된 기업을 세웠다”며 “20세기 전기나 가스, 수도처럼 민간회사가 이를 공급하며 이익을 얻어도 정부가 기간산업으로 규정하고 규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식·정보를 유통하는 도구는 민간이 소유하지만, 세계적인 기관을 통한 규제가 가능하다는 뜻이다.

리프킨은 또 육식 위주의 식습관을 채식 위주로, 화석 에너지 의존 농업을 지역 중심의 유기농으로 바꾸면 농산물 생산의 한계비용 역시 극적으로 줄어든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가 농촌과 긴밀히 연계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는 도시와 주변 농촌이 결연을 맺고 소비자와 농부가 직접 협동조합처럼 연결되는 ‘커뮤니티 지원 농업’을 그 대표적 사례로 제시했다.

리프킨은 “사물인터넷은 사람에게 힘을 실어서 사회를 옆으로 넓혀가는 기술적 인프라가 됐다. 작은 경제 주체가 인터넷을 통해 끝없이 연결해가면 삶의 질 자체가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8-10 1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