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르네상스 화가, 카메라를 썼다고?

르네상스 화가, 카메라를 썼다고?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5-09-18 18:00
업데이트 2015-09-18 2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림이 있는 인문학/원광연 지음/알에이치코리아/344쪽/1만 6000원
이미지 확대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단어 중 하나는 융합이다. 지금 사회는 이질적인 요소가 뒤섞여 있고 이것들을 개별적으로 다루지 않고 조화롭게 합쳐 놓으면 거기서 새로운 가치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2005년 카이스트 교수로서 과학기술과 문화예술을 융합한 문화기술대학원을 설립한 저자는 “예술과 과학이 서로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된다”고 주장한다. 예술은 미래를 꿈꾸고 과학은 미래를 실현한다는 것이다.

책은 르네상스 시대 선원근법과 모네의 정원부터 뉴턴의 프리즘, 21세기 테크놀러지 아트까지 예술과 과학이 만나는 24개 영역을 다룬다. 11세기 비잔틴 모자이크의 거장들부터 인상주의 화가들까지 옛 거장들은 어떻게 사실적으로 그림을 그렸을까. 그 시절에는 교황이나 황제 같은 유명 인사들을 원할 때마다 불러낼 수도, 오랫동안 움직이지 않고 포즈를 취하게 할 수도 없었다. 정물화도 마찬가지다. 사진을 보고 그린 것이 아닐까. 하지만 카메라는 1830년대에 발명됐다.

우리가 사용하는 카메라의 전신인 카메라오브스쿠라는 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개발됐다. 이것은 어두운 방의 벽 등에 작은 구멍을 뚫고 그 반대쪽의 하얀 벽이나 막에 옥외의 실상을 거꾸로 찍어 내는 장치다. 그 영상을 저장할 수는 없었지만 화가들은 육안으로 보는 것과는 또 다른 느낌으로 세상을 볼 수 있어서 스케치용으로 주로 사용했다. 카라바조, 페르메이르, 앵그르 같은 대가들도 카메라오브스쿠라를 사용해 그림을 그렸다. 이후 카메라의 발명은 순수 회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현실적인 수요는 상당 부분 사진으로 대체됐다. 이 밖에도 로봇과 데이터 아트 등 예술과 과학을 화두로 사물과 세상, 인간을 들여다보는 통찰력과 당면한 문제들을 재해석하는 영감을 준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5-09-19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