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음 세대, 사람 중심 공간에서 살고 싶어해”

“다음 세대, 사람 중심 공간에서 살고 싶어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1-10 18:23
업데이트 2020-01-10 18: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기주 교수 출판간담회 “저출산 고령화 염두둬야”

“획일적인 건축, 획일적인 도시로는 지금 한국의 산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다음 세대를 위해 사람 중심의 삶의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우리가 꿈꾸는 미래 건축, 미래 도시는 그저 번듯하면 좋은 것일까. 부족한 주택을 채우는 데에 급급한 과거 물량 공급 중심의 건축에서 벗어나, 스마트 건축·도시를 지향하되, 저출산과 고령화까지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6개 학회·단체가 모인 한국건축도시단체총연합회 대표회장인 하기주(사진) 경일대 건축학부 교수는 10일 연 ‘다음 세대가 살고 싶은 공간’(오름) 북 콘서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하 교수의 책은 역대 정부의 국토 개발 정책의 시행착오에서 비롯한 문제를 짚고 이에 관한 대안을 제시한다. 부산 출신 하 교수는 자신이 자란 부산 범일동과 좌천동에 관해 “가난했지만 공동체가 살아있던 때”라고 추억했다. 이어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으로 시작한 도시화의 빛과 그늘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빈부 격차에 다른 공간 분리, 산업구조 변화에 따른 지방도시 소멸 등 문제가 심각하다”고 강조했다. 성수대교, 삼풍백화점을 들어 성장 일변도 권위적 건설문화를 꼬집기도 했다.

현재 국토종합개발계획이 5차까지 이어졌지만, 여전히 물량 공급에 치중하고 미관과 기능 위주 건축과 도시를 지향한다고 하 교수는 지적했다. 특히 저출산과 고령화와 같은 문제들을 들며 “저출산 고령화 위기 속에서 기존 개발계획은 한계에 이르렀다”고 했다.

현재 주목받는 스마트도시에 관해서도 “도시 인프라만으로는 행복하고 쾌적한 삶의 공간을 만들 수 없다. 도시를 이루는 건축에 신경 써야 한다. 그 근본에는 사람을 중심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 교수는 특히 사회 변화에 맞춰 과거와 달리 해체된 공동체를 회복하는 방법으로 ‘공유’와 ‘복합’을 들었다. 예컨대 ‘복합’에 관해 학교 부지에 지역 주민이 활용할 수 있는 문화·체육·복지 시설을 설치하는 ’학교 복합화·를 사례로 들었다. 급증하는 1인 가구에 발맞춰 일본과 영국이 시행한 저가주택 등도 좋은 사례라고 했다.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한 ‘에너지제로 주택’도 강조했다.

한편, 이날 북 콘서트에 이어 한국의 미래 건축과 도시 실현을 위한 정책 콘퍼런스도 이어졌다. 이경훈 고려대 건축학과 교수가 ‘국민 주거복지를 위한 생활안전 확보 방안‘을, 최병관 공주대 건축학부 교수가 ‘도시재생과 공공시설물 복합화 방안’을, 이명주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가 ‘지속 가능한 스마트 건축도시 미래‘를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