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죽음으로 삶을 완성하려는 우리 사회 107명의 이야기

죽음으로 삶을 완성하려는 우리 사회 107명의 이야기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11-26 17:04
업데이트 2020-11-27 01: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것은 죽고 싶어서가 아니다/유영규·임주형·이성원·신융아·이혜리 지음/북콤마/292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며칠 후 그는 한 줌의 재가 됐습니다. 스위스에서 그는 자기 삶을 완성했습니다. 그의 죽음은 존엄한 죽음이었을까요.”

말기암 환자인 친구의 안락사를 도운 이의 편지는 독자들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존엄한 죽음이란 무엇이냐고 묻는 그의 질문에 우린 뭐라고 답해야 할까.

서울신문 탐사기획부는 지난해 3월 6회에 걸쳐 ‘존엄한 죽음을 말하다’를 연재했다. 자발적 안락사(조력 자살)를 돕는 스위스 비영리단체 디그니타스에서 한국인 2명이 조력 자살로 생을 마감했고, 같은 방식의 죽음을 준비 중이거나 기다리는 한국인이 107명이라는 사실을 국내 최초로 확인한 보도는 안락사에 관한 화두를 던졌다.

책은 당시 스위스 조력 자살 전 과정을 따라가며 관계자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신문에 실리지 않은 취재 과정을 담았다. 기자들은 스위스 취리히에서 안락사를 진행하는 집인 ‘블루하우스’부터 시신을 운반하는 사설 장례업체, 취리히 주가 운영하는 공립 화장장까지 그들이 걸었던 길을 따라갔다.

이 과정에서 스위스 검찰과 법학 교수, 법의학자, 의대 교수, 장례업체 대표, 조력 자살 지원 단체 등 전문가들을 만나고 사회적 쟁점 등도 따져 봤다.

책은 안락사에 관해 “정답은 없다”고 말한다. 스위스처럼 안락사를 전면 허용하기에 우리 사회는 아직 시기상조이기 때문이다.

“무엇이 존엄한 죽음인지에 대해 우리 사회가 성역 없이 고민하고 토론해 봤으면 좋겠다”고 제안하는 책은, 안락사 고민의 출발점이기도 하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11-27 2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