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38)평창 약수리 느릅나무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38)평창 약수리 느릅나무

입력 2011-07-14 00:00
업데이트 2011-07-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늘서 내린 옥황상제 아들 칠백년 마을 평화 굽어살펴

북유럽 신화 속 최초의 신이자 지혜의 신인 오딘은 하늘을 떠받치고 서 있는 거대한 물푸레나무가 있는 신비의 숲에서 인간을 만들었다. 오딘은 물푸레나무의 밑동에 숨결을 불어넣어 남자를, 곁에 서 있는 느릅나무로 여자를 만들어 냈다. 인류 최초의 남자와 여자다. 느릅나무가 서양 문화권에서 여성성의 상징으로 이용되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미국의 현대 작가 유진 오닐이 그의 대표적 희곡 ‘느릅나무 아래의 욕망’에서 물질을 향한 탐욕에 대비하여 음울한 여성성과 본능적 모성, 혹은 열정과 감성을 상징하기 위해 거대한 느릅나무를 배치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미지 확대
평창강변의 국도를 따라 우뚝 서 있는 느릅나무의 위용.
평창강변의 국도를 따라 우뚝 서 있는 느릅나무의 위용.


●느티나무와 자칫 혼동하는 느릅나무

“군청 사람들이 알려줘서 알았지, 처음엔 그저 느티나무인 줄 알았죠. 이제 와서 생뚱맞게 바꾸긴 뭘요? 왜 식당 이름을 잘못 지었냐 하면 그냥 웃고 말죠.”

강원도 평창군 약수리의 국도 31호선 가장자리에서 하늘을 이고 서 있는 느릅나무 앞의 식당 ‘느티나무 가든’의 주인 강태일(58)씨 이야기다. 도로가 개통되기 전 이 나무 앞에 있던 옛 집에서 태어나고 자란 강씨는 옛 어른들도 모두 이 나무를 느티나무로 알았다고 한다.

느릅나무와 느티나무는 모두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가까운 친척 관계의 나무로, 널리 퍼지는 품이나 오래 자라는 생명력이 서로 닮았다. 물론 꼼꼼히 짚어 보면 잎 모양이나 줄기 껍질 생김새 등에서 적잖은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그건 연구자들의 몫이다. 정작 나무에 삶을 기대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정확한 나무 이름 정도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강씨의 말대로 나무 이름이 틀렸다 하면 그저 한번 웃으면 그뿐이다.

분명한 옛 기록이 남아 있을 만큼 느릅나무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살아왔다. 이를테면 ‘삼국사기’에는 느릅나무를 좋은 건축재로 여기고, 일정 수준의 벼슬을 하지 않은 백성이 느릅나무로 집 짓는 걸 금했다는 대목이 나온다. 목재로서의 가치가 높지만, 흔치 않은 까닭에 이를 아끼려 했던 조치였지 싶다.

실제로 오래된 느릅나무는 느티나무에 비해 그 수가 그리 많지 않다. 산림청 보호수로 지정된 느릅나무는 현재 58그루에 불과하다. 그중 34그루가 강원 지역에 집중돼 있다는 것도 우리에게 느릅나무가 익숙지 않은 이유 중의 하나다. 전국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보호수로 지정된 나무가 무려 5300그루가 넘는 느티나무에 비해 턱없이 적은 숫자다.

●마을의 평화를 지켜온 700년 된 나무

“단오 때 저 나무에 쌍그네를 매고 사람들이 놀면 한 해 동안 마을에 평화가 이뤄진다는 전설이 있어요. 그래서 한 십년 전까지만 해도 단오 때만 되면 어김없이 그네를 맸지요.”

그 사이에 느릅나무 주변의 환경도 많이 바뀌었다. 강씨가 자라던 어린 시절만 해도 나무 앞으로 조붓한 흙길이 있었고, 강씨가 살던 집은 읍내 장터에 가는 사람들이 쉬어 가는 주막이었다. 강씨는 이 주막집에서 느릅나무를 바라보며 태어나고 자랐다.

나무 앞을 흐르는 평창강을 스쳐온 강바람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게 없지만, 강변에는 꽤 높은 강둑이 쌓아 올려졌다. 흙먼지 날리던 길은 번듯한 국도로 포장됐고, 사람들을 태우고 장터로 이끌던 소달구지 대신 온갖 자동차들이 쌩쌩 지나친다.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졌지만, 이곳에 살던 마을 사람들은 하나둘 떠났다. 그네를 매고 즐길 사람들이 줄어들면서 쌍그네를 매고 놀던 일도 가뭇없이 사라졌다.


어른 키보다 조금 높은 부분에서 줄기가 둘로 나뉘며 솟아오른 약수리 느릅나무는 키가 25m, 줄기 둘레도 5.5m나 된다. 우리나라에 살아 있는 느릅나무 가운데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느릅나무로 봐도 틀리지 않는다. 포장된 도로가 바로 곁으로 나는 바람에 생육 공간이 넉넉지는 않으나 아직 건강 상태는 그리 나쁘지 않다.

“보호수 안내판에는 455살이라고 돼 있지만, 우리 마을 사람들은 700살은 훨씬 넘은 나무로 알고 있어요. 저 나무가 옥황상제가 보낸 세 아들 가운데 하나거든요. 옥황상제는 나무의 모습으로 세 아들을 우리 마을에 보내면서, 모두가 잘 살면 마을이 잘될 거라고 했는데, 그중의 한 그루가 죽었어요. 그 바람에 마을에 그리 잘되는 집안이 없다고들 하죠.”

강씨가 말하는 다른 한 그루는 마을 안쪽의 들판을 거느리는 듯한 모습으로 서 있다. 멀리서도 한눈에 들어오지만 강변의 느릅나무만큼 크지는 않다. “어떻게 돼야 잘되는 집안이냐.”는 질문에 강씨는 “요즘 같은 시절에야 부자 되는 거죠.”라고 한다.

●온 누리의 평화를 지켜줄 큰 나무

“땅값이나 좀 오를까? 그래 봐야 올림픽 경기장이 있는 진부 쪽에 해당하는 이야기겠지요. 여기는 좀 외져서 별다른 영향은 없을 거예요.”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결정된 뒤 평창은 뉴스의 중심이 됐다. 그러나 평창 주민의 생활에는 아직 별다른 변화가 없다. 큰 도로 주변에 나부끼는 ‘축하’ 메시지를 담은 현수막과 공공기관에서 붙인 축하 포스터를 빼면 달라진 게 없다.

굽이굽이 굽어 도는 평창강을 따라 평창읍에서 조금 남쪽으로 떨어진 약수리 역시 아직은 예전 그대로다. 평창 약수리는 옥황상제가 세 아들을 보낼 곳으로 왜 이곳을 선택했는지를 짚어볼 수 있을 만큼 평화롭고 아름다운 강변 마을이다. 쌍그네를 띄우지 않아도 저절로 지켜질 견고한 평화다.

천년의 평화를 지켜온 한 그루의 나무가 하늘의 위엄을 간직한 채 이곳을 찾을 낯선 외국인들과 함께 온 누리의 평화를 지키는 큰 나무로 남기 위해 기지개를 켠다. 장맛비를 머금은 먹구름이 나뭇가지를 휘감아 돈다.

글 사진 평창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gohkh@solsup.com
2011-07-14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