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마리오네트’를 아시나요?”…인형예술가 김종구

“’마리오네트’를 아시나요?”…인형예술가 김종구

voicechord 기자
입력 2008-04-15 00:00
업데이트 2008-04-16 08: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 자식 같아요. 이름도 있고…”

‘한국의 제피토 할아버지’로 알려진 인형극 연출가 김종구(53)씨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는 인형에 대한 애착이 묻어났다. 스스로도 피노키오를 사랑한 목수 제피토 할아버지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밝힐 정도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연극대학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그는 공연에 쓰이는 모든 인형을 손수 나무를 깎아 만든다. 그가 만드는 인형은 한국에서는 다소 생소한 ‘마리오네트’다.

마리오네트란 실을 걸어 조종하는 목각인형으로 만들기에 따라 손가락 관절이나 표정까지 움직일 수 있다. 마술이나 변검을 흉내낼 수 있을 정도로 정교하다.

현재 그는 마리오네트를 알리기 위한 공연을 곳곳에서 펼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계원조형예술대학 겸임교수로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기 시작했다.

주말 공연(마포아트센터 플레이 맥, 25일~27일)을 앞두고 준비중인 그를 만났다.

마리오네트의 어떤 점이 매력적인가?

요즘에는 인형극을 하는 사람들도 목각인형을 안 만든다. 러시아에서 공부할 때도 마리오네트 제작은 나 혼자였다. 나무로 만들면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그래서 더 좋다. 공장에서 찍어내는 인형에는 ‘정성’이라는 느낌이 없다. 또 ‘나무’가 주는 따뜻한 질감도 무시할 수 없고.

작품의 영감은 주로 어디서 얻는지?

애써 찾는 건 아니고 생활 속에서 나온다. 자다가 벌떡 일어나서 스케치를 한다던가, 길을 가다가 문득 떠오른다거나… 뭐 그런 식이다.

인형을 조종하는 것도 오랜 훈련이 필요한 것 같다

사실 나는 제작만 하려고 했다. 그런데 한국에는 내가 만든 인형을 조종할만한, ‘마리오네티스트’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이 없더라. 어쩌겠나,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해야지. 그래서 내가 공연에 나섰다.

아무래도 직접 만든 인형이다 보니 연습은 (남들보다는 비교적) 수월한 편이다. 그 인형의 구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니까. 그래도 몇 달씩 걸린다.

현재 한국 인형극 인프라는 어떤가

한국에서는 ‘인형극은 아동용’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특히 마리오네트 같은 경우는 만드는 사람도, 공연을 하는 사람도 없다.

하지만 인형을 비롯해 연극과 같은 무대공연들이 앞으로는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 기대한다.모두 현실적으로는 어려운 것은 사실이지만, 무대는 생명과 생명의 만남인 만큼 앞으로는 사람들이 그런 교감을 더 찾을 거다. 멀티미디어가 아무리 발달해도 그것과 무대공연은 다르다.

앞으로 계획은?

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아마도 인형극으로 대학 교수가 된 사람은 내가 처음일 거다. 그들 중에 이 길로 오는 사람이 있기를 바란다. 또 지금까지 해왔던 것처럼 후배들이 더 다양한 공연을 할 수 있도록 인형극이 사람들에게 ‘예술’로 받아들여지도록 노력하려 한다.

서울신문 나우뉴스TV 박성조기자 voicechord@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