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의경 예비역 “진압거부, 용기없어 못했을 뿐”

전의경 예비역 “진압거부, 용기없어 못했을 뿐”

voicechord 기자
입력 2008-08-13 00:00
업데이트 2008-08-14 09: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이길준과 같은 용기가 없었을 뿐이다.”

촛불집회의 폭력진압을 거부하고 양심적 병역거부를 선언한 이길준 이경을 지지하는 전의경 예비역들이 지난 4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의경제도 폐지를 촉구했다. 시위 진압을 직접 경험했던 이들은 기자회견문 대신 ‘이길준 이경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했다.

이 이경이 구속수감 되기 하루 전인 지난 6일, 이 ‘편지’를 직접 쓰고 낭독한 최재완(29)씨를 만났다. 그는 “우리는 모두 ‘숨은 이길준’들이었다.”며 “이길준이라는 한 젊은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와 같이 용기없는 이들이 수 없이 많다.”고 강조했다.

그는 작전전경 2574기로 지난 2003년 전주 노동자 집회 등 대규모 집회현장에서 진압대의 자리에 있었다.

▶ 전의경 출신으로서 현재 병역거부 중인 이길준 이경 지지를 선언했다. 계기가 있었는지.

해봤으니 아는 거다. 이길준이라는 젊은이의 병역거부에 대해 “이제 겨우 이경이 뭘 아냐”고 하는 사람들도 있던데 나는 2년 동안 해봤다. 다 해봤는데 내 생각도 (이 이경과) 똑같다. 솔직히 나 역시 그런 행동을 하고 싶었지만 용기가 없었을 뿐이다.

▶ ‘양심적’이라는 표현에 ‘현재 전의경 복무자들은 모두 비양심적이냐’는 말도 나온다.

양심이라는 개념부터 짚어야 될 것 같다. 양심은 규정된 도덕률이 아니라 개인적이고 선험적인 개념 아닌가. 누군가는 시위대와 맞서는 것보다 일반병 복무가 더 낫다고 생각할 수 있고, 누군가는 집총 자체를 거부하면서 대체복무를 원할 수도 있다. 특정한 선택이 양심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양심을 지킬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 거다.

▶ 복무 당시에도 이 이경과 같은 생각을 했다고 밝혔는데. 어떤 점에서 그랬나.

육군은 전쟁을 ‘대비’하면서 훈련을 하지만 전의경들은 항상 실제 상황이다. 진압 나가서 뚫리면 패배한 거고, 패잔병처럼 취급받는다.

이 이경과 같이 나도 “보이지 않게 때려라.” “시위대는 너희의 적이다.”와 같은 말들을 들었다. 시위현장에 나가면 대부분 시위대와 대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옆에 가까운 사람이 맞기라도 하면 나도 모르게 ‘울컥’하기도 하고… 폭력이 내면화 되는 거다. 이 이경의 “인간성이 하얗게 타버리는 기분”이라는 말이 딱 맞는다.

▶ 개인의 양심에 따른 것이라면 시위 현장에서 폭력을 안 쓰면 되지 않나.

심한 폭력을 쓰느냐, 그냥 버티기만 하느냐는 것은 개인의 선택일 수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어떻게 될지 모른다. 전진 명령이 나와서 전체가 밀고 나가는데 그냥 서 있을 수도 없고.

실제로 전쟁이 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집총거부를 하는 것처럼, 그런 조직에 몸 담고 있는 자체가 특정인들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

▶ 전의경제도 폐지만이 유일한 방법인가? 굳이 폐지를 주장하는 이유는?

오히려 반대로 묻고 싶다. 인권문제까지 거론되는 가운데 왜 ‘굳이’ 전의경제도가 필요한가? 현재 전경과 의경의 주임무는 각각 대간첩작전 수행과 치안업무 보조로 되어있다. 과연 그들이 그 임무를 수행하나? 4만~5만의 전의경 병력이 있는데 실질적으로 시위 진압만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단순히 치안 보조라는 의미로 시위 진압에 나서는 것이라면 이 규모를 유지하는 것이 더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어제(5일, 부시방한)만해도 서울 한복판을 까맣게 뒤덮을만한 병력이 동원됐는데, 그 규모가 과연 필요할까? (5일 청계광장 주변에는 경찰병력 225개 중대 2만 4000여명이 투입됐다.)

서울신문 나우뉴스TV 박성조 기자 voicechord@seoul.co.kr / 서울여대 학생기자 권윤희 고유선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