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라져가는 활판인쇄 전통잇는 ‘활판공방’

사라져가는 활판인쇄 전통잇는 ‘활판공방’

huimin0217 기자
입력 2008-11-09 00:00
업데이트 2008-11-10 09: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거가 있어야 현재와 미래가 있다.”

남들이 모두 앞만 보고 달릴 때 사라져 가는 과거를 되살리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 아무도 하지 않으려 하는 일에 대가 따위는 생각도 안하고 앞장서는 사람들이 있다.

70 년대 말 이후 맥이 끊겼던 활판인쇄를 되살린 ‘출판도시 활판공방’ 식구들이 그렇다.

활판공방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납 활자로 책을 찍어내는 인쇄소 겸 출판사다. 시월 출판사의 박한수 대표와 편집주간을 맡고 있는 박건한 시인 등이 힘을 합쳐 지난해 11월 문을 열었다.

이들은 디지털 인쇄술의 등장으로 맥이 끊긴 활판인쇄를 되살리기 위해 지난 몇 년간 전국을 돌며 고철이 되어버린 인쇄기계를 찾아냈다. 뿔뿔이 흩어져있던 문선공과 주조공들을 모으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었다.

활판인쇄를 복원하는데 가장 큰 힘이 된 것은 무엇보다도 김찬중씨를 비롯한 문선·주조공들이다.

“활판인쇄를 되살려보자는 제의를 받았을 때 ‘이미 사라져버린 것을 왜 하겠다는 것인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20년간 손에서 놓았던 일이기 때문에 머뭇거리기도 했다. 게다가 이제는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다. 하지만 다시 해보겠다는 열정에 두 손을 들고 말았다. 활판을 만드는 곳도, 이런 방식으로 책을 찍어내는 곳도 여기뿐이다.”

어렵사리 활판인쇄를 다시 시작했지만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있다.

50년간 문선공으로 일했다는 정흥택(69)씨는 “가장 큰 문제는 후계자도 없을 뿐 아니라 배우려는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또 만약 배우려는 사람들이 있다면 활판 인쇄를 하는 곳도 많아야 하지만 현재는 이 곳 뿐이다.”라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이곳 문선·주조공들이 60~70대가 대부분인 만큼 전통을 계승할 젊은 층의 육성이 시급하지만 아무도 나서는 사람이 없는 까닭이다.

기술의 발달과 사람들의 무관심으로 이제는 ‘과거’이자 ‘전통’이 되어버린 활판인쇄. 사라져가는 것을 되살리려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박건한 편집주간은 “발전하려면 뒤를 돌아볼 줄 알아야 한다. 과거가 있어야 현재, 미래도 있는 것”이라며 “고생스럽겠지만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전기밥솥으로 밥을 짓기는 쉽다. 간편하고 오래 걸리지도 않는다. 하지만 가마솥은 다르다. 밥 짓는 내내 불을 때며 옆에서 지켜봐야 하는 만큼 힘이 든다. 그렇지만 가마솥 밥에는 그만큼 어머니의 손맛이 담겨져 있다. 밥을 지을 때 마다 밥맛이 달라지기도 한다. 활판인쇄도 같은 이치라고 생각한다.”

장인들과 낡은 기계들이 만들어 내는 활판인쇄 책은 그야말로 ‘명품’이다. 주조(鑄造·납으로 자모를 만드는 과정)에서 인쇄, 접지, 제본까지 모두 수작업으로 만들어질 뿐 아니라 납 인쇄의 특성상 단 1000부 만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희소가치도 높다.

책마다 고유 번호와 각기 다른 머리말이 찍혀 있다는 점도 ‘명품’으로 불리게 하는 이유다.

“보통 책은 시간이 지나면 잉크가 날아가 글씨가 흐려진다. 하지만 활판인쇄는 고급한지에 잉크를 스며들게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500년은 거뜬히 보존할 수 있다.”

제본을 맡고 있는 이청일씨의 말투에는 자부심이 가득했다. 좋은 질의 책을 만들고 있을 뿐 아니라 전통을 이어가는 장인정신이 깃들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오늘도 활판공방은 백발성성한 장인들의 땀방울로 가득하다. 이들의 노력을 헛되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

‘말(馬) 신발’ 신기는 ‘장제사’를 아시나요?

글 /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

영상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김상인VJ bowwow@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