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적 의미에서 알 수 있듯 뗏목은 이제 거의 자취를 감췄다. 철도나 트럭ㆍ육로가 마땅치 않았던 시절, 뗏목은 먼 곳으로 나무를 운반하기 위한 거의 유일한 수단이었다. 그나마 남은 옛날 전통방식의 뗏목을 보려면 영월에서 열리는 동강축제나 정선에서 열리는 정선아라리축제에 가야한다.
아침부터 서둘렀지만 점심 무렵이 다 돼서야 도착한 영월군 거운리 둥글바위 앞은 뗏목을 만드는 사람들로 붐빈다. 통나무를 엮어 만든 판을 이르는 ‘동가리’ 여럿이 이미 강물에 올라 있다. 타임머신을 타고 50년 전으로 되돌아 간 듯 한 착각에 빠져든다.

뗏목과 떼꾼의 가장 화려한 시절은 대원군이 경복궁을 재건할 당시였다. 임진왜란 때 불탄 경복궁을 다시 지으려니 나무 수요가 높아졌고, 덩달아 떼꾼의 몸값도 높아졌다. ‘떼돈 번다’의 떼돈도 여기서 유래된 말이다.

“예전에는 강 근처 총총히 주막이 있었지. 가문 때에는 주막에서 배로 막걸리를 싣고 와 팔았는데, 한 주전자에 3전 정도 했던 시절이었어. 돈 내고 남의 술 먹다보니 떼돈 다 날리고 남는 게 없었지 뭐. 허허”

떼꾼들의 시절은 강물을 따라 흘러가 버렸지만 여전히 옛것을 기억하려는 사람들 덕분에 동강 축제에 뗏목은 여전히 띄워지고 있다.

사라져 가는 것들이 대부분 그러하듯 전통 뗏목을 만드는 방식은 맥이 끊기기 직전까지 와 있다. 거운리 안에서 뗏목 전통 제작과정을 완벽하게 아는 사람은 올해 축제에 떼꾼으로 참여한 엄달섭씨인과 엄월열(77)씨를 비롯해 4명 정도가 전부다. 영월군이 나서 거운리와 손잡고 근근이 명맥은 이어가지만 정형화된 제작 매뉴얼이 없기 때문에 계승이 어렵다.

뗏목을 만드는 일은 반나절 이상을 꼬박 움직여야 한다. 통나무가 모여 동가리가 되고 떼를 이룬다. 밧줄로 동가리를 연결하고 뗏목 제작 전용 못인 ‘뗏못’으로 고정한 뒤 노의 구실을 하는 그래를 매달면 뗏목 띄울 준비가 끝난다.
뗏목이 완성되면 영월군민과 동강의 안녕을 비는 고사가 진행된다. 떼꾼들이 흰 모시옷으로 갈아입은 뒤 뗏목에 오르자 해가 뉘엿뉘엿 지기 시작한다. 기약 없는 뗏목과 떼꾼이 붉은 동강을 따라 천천히 멀어져 간다.

사진·영상=영월 서울신문 나우뉴스TV 김상인VJ bowwow@seoul.co.kr
영월 서울신문 나우뉴스 송혜민기자 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