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청장은 30일 서울 경찰청사 강당에서 가진 취임식에서 “모든 허물은 제 부덕의 소치이며, 겸허하게 국민과 동료 경찰의 뜻을 받드는 청장이 되겠다.”고 한껏 자세를 낮췄다. 그는 “치안행정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바꿔 조직운영의 중심을 ‘국민’과 ‘현장’에 두겠다.”고 도 했다. 또 지방청과 경찰서의 권한을 강화하고, 경찰청은 법령·제도정비 등에 주력하겠다며 ‘권력 분산’의 뜻도 밝혔다.
그러나 앞길이 결코 순탄치 않다. 우선, 조직 안정이 발등의 불이다. 그의 성과주의에 대한 내부 반발이 거센 데다 임명 과정에서 경찰대와 비경찰대의 ‘권력 암투설’까지 더해져 인사청문회장을 달구기도 했다. 일선 경찰들조차 “경찰조직의 동요가 생각보다 크다.”고 공공연하게 말할 정도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차명계좌 발언에 따른 명예훼손 소송도 버거운 짐이다. 최악의 경우 현직 경찰총수가 기소되는 불명예를 겪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야권의 사퇴압력을 감당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노무현 대통령 명예훼손 규탄 대책회의와 노무현재단은 이날 서울 합정동 노무현재단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임명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는 이해찬·한명숙 전 총리, 유시민·이재정·장하진 전 장관 등이 참석했다.

글 / 서울신문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영상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김상인VJ bowwow@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