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김정권 의원은 “특채란 것은 전국에 있는 인재를 발굴해 전문가를 임용하는 것인데, 특채가 특정인이나 고위층 자녀를 등용하는 길이 되면 국민들로부터 공감을 얻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인기 의원은 “외무고시 2부 선택 과목을 보면 국사·영어·문화 중 한 과목을 선택하게 돼 있는데, 외국에서 오래 생활한 수험생일수록 국사 의식을 더 철저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장세환 의원은 “특채나 개방형 직위에 대해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면서 “(유 장관 딸의 특혜논란처럼) 특권층의 자제를 위한 특권 정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백원우 의원도 “이번 사건은 국민에게 박탈감을 갖게 한다.”면서 “이번 기회에 특별채용 문제 전반 들여다보고, 감사하고,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진보신당 조승수 의원도 “이번 사건은 외교부만의 문제가 아니다.”면서 “청와대, 각 행정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등의 특별채용은 물론 인턴 채용 문제까지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맹 장관은 특별채용제도에 대한 전면적인 감사요구와 관련, “전반적으로 들여다보고 필요하면 거기에 대해 개선할 부분은 개선하겠다.”면서 “중요한 건 공정성을 담보하고 국민 신뢰를 제고하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한나라당 박대해 의원의 “최근 행안부가 발표한 행정고시 개편안도 제고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행시 폐지라는 표현은 맞지 않고 행정고등고시를 5급 공개채용으로 변경하는 것”이라면서 “공청회에서 각계 의견을 들어 보겠지만, 큰 원칙상 그대로(정부안대로) 가는 게 옳다고 본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영상 / 서울신문 나우뉴스TV 김상인VJ bowwow@seoul.co.kr
글 / 서울신문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