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자와 차 한 잔] ‘조선왕릉실록’ 펴낸 이규원 씨

[저자와 차 한 잔] ‘조선왕릉실록’ 펴낸 이규원 씨

입력 2012-01-27 00:00
업데이트 2012-01-27 19: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은평구에 있는 한 초등학교로 전학을 간 뒤부터 그 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봄소풍 장소는 줄곧 경기도 용두동에 자리잡은 서오릉이었다. 조선시대 어느 왕의 무덤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어린아이에게 중요한 것은 놀이였으니, 친구들과 구릉을 타고 굴러내려오는 재미가 쏠쏠했던 기억이 있다. 중학교때는 좀 벗어나나 싶더니 경기도 원당동 서삼릉이요, 고등학교 때는 경기도 파주 공릉이었다. 소풍 장소를 공지할 때마다 “무슨 소풍을 무덤으로 가냐.”는 불평이 터졌다.

 

만약 그때 어느 한 순간이라도 이런 책을 접했다면, 소풍에 대한 기억은 확연히 달라졌을 것이다.

 

“제대로 설명을 해주는 사람이 없으니까요. 하나의 성(姓)이 27대에 걸쳐 왕을 배출하면서 519년을 이어온 조선의 역사나, 왕실 무덤이 단 한 기도 훼손되지 않은 채 보존된 것은 세계 유일한 사례입니다. 하지만 그 가치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죠.”

 

조선 임금의 능을 찾고, 그곳에 켜켜이 쌓인 역사를 풀어낸 ‘조선왕릉실록’(글로세움 펴냄)의 저자 이규원(63)씨는 기자가 어린시절 기억을 ‘이실직고’하자 명쾌하게 대답했다.

 

시인이자 종묘제례 전수자인 저자는 지난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남한에 있는 조선왕릉 40기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이 책을 쓰기 시작했다. 현재 한반도에 있는 조선왕족 무덤은 모두 119기로, 42기가 능(陵)이고, 13기가 원(園), 나머진 64기는 묘(墓)이다. 그는 이 중 49기를 책에서 다룬다.

 

“27대 임금과 정실인 원비, 두번째 왕비인 계비 등이 중심이지만, 조선왕조 역사를 논할 때, 파란만장한 역사를 만든 철종의 생부인 전계대원군이나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이구(李球)처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인물까지 포함하면서 49기를 담게 됐습니다.”

 

책은 태조 이성계의 조선 창건부터 마지막 황태손 이구(李玖)까지 편년체로 훑고 있다. 그가 꾸준히 정독한 ‘조선왕조실록’과 ‘완산실록’, ‘연려실기술’에 32권짜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 바탕이 됐다. 북한에 있는 제릉(신의고왕후 릉)과 후릉(정종과 정안왕후 릉)에 대한 이야기는 ‘선원보감’을 참고했다. 한마디로 책은 정사(正史)에 나온 것들만 담았다는 얘기다. 자칫 딱딱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대화체로 풀어내면서 조선왕조의 흐름을 통사적으로 이해하기 충분하다.

 

저자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일일이 왕릉을 찾아 찍은 사진과 해설을 섞고, 풍수 이야기를 덧댔다.

 

“묘자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집안의 흥망성쇠가 갈리죠. 하물며 519년을 이어온 조선왕조는 오죽했겠습니까. 왕과 고관대작들은 나라를 유지하기 위해 당대 최고의 명당에 선대 왕을 모셨거든요. 봉분의 형태나 능침의 삼단 구성, 무인석과 문인석 배치, 주변 환경의 조화 등을 알고 왕릉을 보면 장묘예술의 정수에 감탄할 수밖에 없죠.”

 

어릴 적부터 풍수대가로 알려진 유효동 선생과 전국 산을 돌아다니면서 풍수를 공부하고, ‘대한민국 명당’(2009년)을 출간했던 저자는 “완벽한 풍수를 가진 왕릉에 가만히 서 있노라면 자연에 대한 경외심까지 느끼게 된다.”고 했다.

 

“풍수는 양념이고, 정사에만 집중해달라.”고 주문했지만, 역시 천하제일의 명당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저자는 “우리나라 최대 왕릉군인 동구릉 중에서도 태조 건원릉이 으뜸이고, 세종대왕의 영릉도 명당 중의 명당”이라고 말한다. 좌청룡·우백호·북현무·남주작이 모두 자리 잡았고, 기(氣)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는 안산과 마치 용이 굽이치는 듯한 용맥(龍脈)까지 완벽하게 갖추고 있다. “조선 500년의 시작을 알린 건원릉과 조선 운세를 100년 연장시켰다는 영릉은 인위적으로는 배치할 수 없고, 3대를 적선해도 차지하기 힘든 천혜 명당”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왕릉 주변에 건물들이 어지럽게 들어서고 위락시설이 조성된 것을 보면 탄식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이제 조선왕릉은 우리의 문화유산이자 세계의 유산입니다. 이미 만들어진 환경이야 어쩔 수 없겠지만, 앞으로라도 보존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할 겁니다.”

글 /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영상 / 장고봉PD goboy@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