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감기 빨리 낳으라고 하면 외않되?” 무분별한 한글 맞춤법 파괴

“감기 빨리 낳으라고 하면 외않되?” 무분별한 한글 맞춤법 파괴

장민주 기자
입력 2020-10-08 09:30
업데이트 2020-10-12 08: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글날(10월 9일)’은 세종대왕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해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한 국경일이다. 1926년 조선어연구회가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지정한 것이 그 시초다.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한 것은 『세종실록(世宗實錄)』 28년(1446) 9월조의 “이번 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되었다(是月訓民正音成)”는 기록에 따라 정한 것이다.

‘가갸날’이라고 정한 것은 당시에는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한글의 형태가 아니라 ‘가갸거겨’,‘나냐너녀’와 같은 식으로 배우는 형태였기 때문이다. ‘언문’, ‘반절’, ‘가갸글’ 등으로 불러오던 훈민정음은, 1910년대에 들어 주시경을 중심으로 한 국어 연구가들이 ‘으뜸가는 글’, ‘하나밖에 없는 글’이라는 뜻을 붙여 ‘한글’이라 부르게 되었다.

1928년 ‘가갸날’을 ‘한글날’로 바꿨으며 1931년에는 음력으로 기념해오던 한글날을 양력 10월 29일로 정하게 되었다. 이후 훈민정음 해례본의 원본이 발견되었고, 그 서문에는 “정통 11년 9월 상한(正統十一年 九月上澣)에 정인지가 썼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10월 29일에서 20일을 앞당긴 10월 9일이 지금의 한글날이 되었다. 한글날은 올해 제574돌을 맞는다.

독창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은 한글이지만 맞춤법과 같은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최근에는 ‘나한테 일해라 절해라(이래라 저래라) 하지마’, ‘왜승모(외숙모)’, ‘마마 잃은(남아일언) 중천금’, ‘힘들면 시험시험해(쉬엄쉬엄해)’, ‘일치얼짱(일취월장)’ 등 웃지 못할 맞춤법 파괴의 문장들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장악하기도 했다. 특히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틀리는 한국어로 ‘왠지(O)/웬지(X)’, ‘웬만하면(O)/왠만하면(X)’, ‘웬일(O)/왠일(X)’, ‘봬요(O)/뵈요(X)’, ‘어떡해(O)/어떻해(X)’ 등이 있었다.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
최근에는 모양이 비슷한 글자들끼리 서로 바꿔쓰는 ‘야민정음(야구 갤러리+훈민정음)’의 형태로 쓰이기도 한다. ‘대’는 ‘머’로, ‘귀’는 ‘커’로, ‘유’는 ‘윾’으로 쓰인다. 가수 ‘저스틴 비버’를 ‘저스틴 또뜨’로, ‘비빔면’을 ‘네넴띤’으로 부르기도 한다. 실제로 라면회사 팔도는 ‘괄도 네넴띤’이라는 이름의 제품을 출시한 적도 있다. 인터넷에서 유행하는 신조어가 마케팅의 수단으로 활용된 것이다.

한글을 활용한 신조어의 탄생을 무조건 나쁜 현상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한글의 독창성을 활용해 새로운 뜻의 신조어를 창조해 사용한다면 그것 또한 한글의 순기능일 것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한글 맞춤법을 파괴하거나 뜻을 알 수 없는 신조어를 남발한다면 상대방의 눈살을 찌푸리게 만들 수 있다.

유행하는 신조어도 좋지만, 이번 한글날만큼은 한글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올바른 한글을 사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글·영상 장민주 인턴 goodgood@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