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산림경영 길을 찾다] 우량 목재 생산 위해 선도산림경영단지 조성

[산림경영 길을 찾다] 우량 목재 생산 위해 선도산림경영단지 조성

입력 2014-04-09 00:00
업데이트 2014-04-09 0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형 산림경영 전망과 과제

산림청이 ‘기대 반 우려 반’ 속에 목재 생산을 위한 산림경영에 나섰다. 우리나라에서 경제림 육성이란, 임야 경사도가 높아 벌채 비용이 많이 들고 나무의 성장속도가 느려 목재 생산의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꼬리표가 따라붙는다. 1988년 임업진흥권역(127만㏊)과 2002년 경제림육성단지(290만㏊)를 지정했지만 지난해 기준 국내 목재 수요의 83%(2325만㎥)를 수입하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았다.

이미지 확대
강원도 홍천의 선도산림경영단지(국유림)에서 작업 인부들이 숲가꾸기와 간벌 작업을 하고 있다. 산림청은 2050년 목재자급률 30%를 목표로 목재생산을 위한 한국형 산림경영 모델인 선도산림경영림을 2017년까지 국유림 6곳, 사유림 5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산림청 제공
강원도 홍천의 선도산림경영단지(국유림)에서 작업 인부들이 숲가꾸기와 간벌 작업을 하고 있다. 산림청은 2050년 목재자급률 30%를 목표로 목재생산을 위한 한국형 산림경영 모델인 선도산림경영림을 2017년까지 국유림 6곳, 사유림 5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산림청 제공
성과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산림경영 노력이 가미되면서 2001년 5.7%이던 목재자급률이 2013년 17%까지 올랐다. 생산비가 수익보다 높은 ‘저급재’가 많지만 원목 자급률 56.6%(489만 7000㎥)로 수입 원목 일부를 대체하는 효과도 나타났다.

실패를 경험 삼아 내놓은 프로젝트가 ‘선도산림경영단지’다. 목재 생산을 위한 경제림을 지향한다. 2012년 국유림 6개 단지(3만 2000㏊)의 첫 지정에 이어 올해 사유림 중 1000㏊ 이상 경영 여건을 갖춘 3곳(5166㏊)을 선정했다. 장기적으로 2017년까지 사유림 50곳을 확보할 계획이다.

선도경영단지는 관행을 타파한 한국형 산림경영 모델을 확산시키는 거점 역할을 맡는다. 경제림육성단지 중 최대 200만㏊를 확보해 2050년 기준 국내 목재수요(4000만㎥)의 30%를 국내재로 공급할 계획이다. 현재 공급량의 2.4배, 특히 고급재 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영이 이뤄진다. 산림생태계 및 건강한 숲의 조건인 혼효림이 아닌 단일 수종으로 조림 또는 갱신한다. 남부 지역은 편백과 황칠나무, 중부권은 낙엽송, 강원권은 소나무와 잣나무 등으로 단순화할 계획이다. 경영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임도(林道) 설치를 확대해 기계화 등 경영기반시설을 구축한다.

임도는 산림에서 인체의 동맥 역할 및 산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수 기반시설이다. 태풍과 호우 등 재해 때 피해를 높일 수 있다는 우려와 1㎞에 2억원이 소요되는 막대한 비용 부담 등으로 적극적인 조성이 어려웠다. 산림청은 현재 ㏊당 3.7m(국유림 7.1m·사유림 2.9m)에 불과한 임도를 2030년까지 10m로 확대할 계획이다. 비효율적으로 수행해 오던 숲가꾸기도 경제림에 집중한다.

산림전문가 A씨는 “장기간 경영이 필요한 현실에서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는 대표 수종이 없다는 것이 약점”이라며 “개발이익에 대한 기대와 나무를 잘 키우면 손해라는 산주(山主)들의 인식을 전환해 경영에 참여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1년간의 시범 운영을 통해 가능성이 타진되고 있다. 무주선도단지(국유림 2664㏊)는 조림과 숲가꾸기(85㏊), 임도 확대 등 초기 투자가 집중되는 가운데 지난해 간벌과 산물 수집 등을 통해 생산비의 90%인 2억 4000만원을 회수했다. 현재 24㎞(㏊당 9m)인 임도를 2022년까지 50㎞(㏊당 19m)로 확대할 계획이다. 전체 산림의 45%를 차지하는 25년생 낙엽송(벌기령 60년)이 성장하면서 본격적인 경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보성선도단지(사유림 1500㏊)는 전체 산주 778명 중 72%가 대리 경영에 동의, 현재 1243㏊를 확보해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경영은 산림조합이 맡는데 수확 전인 조림과 숲가꾸기·임도 등은 정부가 지원하고 간벌 등을 통해 발생한 수익은 산주들에게 분배한다. 보성군은 현재 27%(400㏊)를 차지하는 편백나무 조림을 확대하고 황칠나무단지(150㏊)를 조성해 일자리 창출과 수익 기반을 높일 계획이다. 산림청 권장현 사무관은 “경제림은 단일 수종 조림이 유리하다”면서 “복구용으로 심은 리기다소나무가 보드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등 목재의 용도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무주·보성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4-09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