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커버스토리] 무해 MSG… 댁의 밥상엔 오릅니까

[커버스토리] 무해 MSG… 댁의 밥상엔 오릅니까

입력 2014-09-20 00:00
업데이트 2014-09-20 0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초의 MSG 광고 모델을 했지만 인공 조미료는 안 먹어요. 제가 왜 써요. 미쳤어요?”

최근 집밥을 선보이는 한 종편 방송에서 원로 배우 선우용여씨가 한 말이다. 선우씨는 1969년부터 1980년까지 국내 대기업 조미료 제품의 광고 모델이었다. 그는 “건강을 위해 인공 조미료 대신 천연 재료를 넣어 먹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가 ‘평생 먹어도 안전’하다고 두 번에 걸쳐 판정을 내렸지만 논란의 불씨는 꺼지지 않았다. 2012년 또 다른 종편 방송이 조미료 사용 여부에 따라 멋대로 선정한 ‘착한식당’이 MSG 유해 논란을 재점화시켰다. 혼란스러운 소비자와 60만 자영업자들이 고통을 호소하자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MSG 안전성에 대한 정부 차원의 홍보가 미흡하다는 질타가 나왔다.

올 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소비자 책자를 발간하고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 식품업계에선 “예전처럼 ‘MSG 무해 기사’만 뜨면 비난 댓글이 난무하지는 않는다”며 달라진 분위기를 전한다.

하지만 결혼 1년차 주부 김정민(29)씨는 “화학조미료를 쓰다 보면 짜게 먹게 되고 그 맛에 길들면 자식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것 같아 꺼려진다”고 말했다. 9개월 된 아이가 있는 우혜미(28)씨는 “괜찮다는 얘긴 들었지만 불안하다”면서 “아이가 태어나면서 아예 화학조미료를 끊었다”고 말했다.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도, 일부 소비자단체의 엉터리 주장, 이를 그대로 퍼 나르는 황색언론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지며 상황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면서 “식품첨가물에 대한 규제는 국제 통용으로, 한국만 독자적으로 관리하거나 허용하는 첨가물이란 게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9-20 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