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시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를] “꿈을 좇는 대학생, 꿈을 갖는 아이들 보면 가장 큰 보람”

[다시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를] “꿈을 좇는 대학생, 꿈을 갖는 아이들 보면 가장 큰 보람”

입력 2013-01-31 00:00
업데이트 2013-01-31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장인성 삼성사회봉사단 전무

“얼마 전 주중교실에 참여했던 학생 가운데 40명에 달하는 학생들이 과학고, 마이스터고 등 특목고에 입학했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기대했던 것보다 반응도 결과도 좋아 뿌듯합니다.”

30일 만난 삼성사회봉사단의 장인성 전무는 오는 3월 시행 1주년을 맞는 ‘드림클래스’에 대한 소회를 묻자 이렇게 답했다. 장 전무는 “무엇보다 아이들이 대학생 선생님처럼 되고 싶다고 하는 등 하고 싶은 일에 대한 꿈을 갖게 됐다는 사실이 가장 큰 보람”이라며 흐뭇해했다.

이미지 확대
장인성 삼성사회봉사단 전무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장인성 삼성사회봉사단 전무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드림클래스는 양극화 해소를 위해 삼성그룹 차원에서 시행하는 중학생 대상 교육 기부 사업이다. 소득과 지역 격차로 빚어지는 교육 소외가 가난과 빈곤을 대물림하는 고리라는 인식에서 이를 끊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기존의 교육사업처럼 단순한 자금 지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발벗고 나서 직접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으로 발상의 전환을 이뤄 큰 화제를 낳았다.

현재 삼성그룹에서 펼치고 있는 교육사업은 영유아 아이들을 위한 어린이집 운영, 초등학생 대상 공부방 지원 사업인 희망네트워크, 고등학생 대상 장학 지원 사업인 열린장학금 등이 있다. 중학생을 위한 드림클래스로 삼성이 목표로 삼은 생애주기별 사회공헌사업이 완성됐다는 의미가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중학생 때가 대학 입학을 가름하는 결정적인 시기라고 합니다. 이때 기초 학력과 공부 습관을 제대로 갖추게 해 주면 변화할 수 있다는 거죠.” 아이들에게 ‘고기 잡는 법’을 직접 전수해 주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9개월간 소외 지역과 계층 현황을 살피고 외국의 교육사업 등을 연구한 끝에 지난해 3월 드림클래스의 첫발을 내디뎠다.

전국 주요 도시의 저소득층 중학생을 위한 주중교실, 도별 중소도시 중학생을 위한 주말교실, 읍·면·도서 지역 중학생을 위한 방학캠프 등 3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주중·주말교실은 현재 117개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다.

방학캠프는 지난해 8월 시범 운영을 거쳐 지난 1월 3~24일 3주간 서울 5개 대학에서 겨울캠프가 진행됐다. 지역적인 이유로 학원 등 사교육에서 소외됐던 총 1300명의 중학생은 대학생 강사들로부터 영어, 수학을 집중적으로 배우는 한편 평소 접하기 힘들었던 다양한 문화 활동도 즐겼다.

드림클래스는 수혜 대상자인 중학생뿐 아니라 사회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강사로 참여하면 주중·주말교실의 경우 월 60만원, 방학캠프는 월 250만원 등의 수고비도 받지만 이들이 얻는 것은 금전적인 것 이상이다.

참가자 대부분은 넉넉하지 않지만 열심히 꿈을 좇는 젊은이들이다. 이들은 드림클래스를 통해 보잘것없다고 생각한 자신의 능력이 남을 위해 소중하게 쓰일 수 있다는 자부심을 얻는다. 장 전무는 “성적도 성적이지만 강사 선발 때 집안 형편 등 자라온 환경을 더 많이 본다”며 “참가자들은 경제적 도움뿐 아니라 봉사라는 소중한 경험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기대대로 대학생들은 비슷한 처지의 아이들과 교감하면서 서로의 꿈의 크기를 키우는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다. 아이들은 대학생 언니, 오빠를 ‘롤 모델’ 삼아 꺾였던 희망을 다시 세우기도 한다.

장 전무는 “‘인재 제일주의’라는 기업의 이념에 맞춰 앞으로 사업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며 “올해 3개 프로그램의 수혜자를 중학생 1만명, 대학생 2000명으로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박상숙 기자 alex@seoul.co.kr

2013-01-31 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