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뉴미디어와 신문 미래] 온 -오프라인·동영상 취재… 1인다역 ‘슈퍼맨 기자’ 시대

[뉴미디어와 신문 미래] 온 -오프라인·동영상 취재… 1인다역 ‘슈퍼맨 기자’ 시대

입력 2011-07-18 00:00
업데이트 2011-07-1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뉴미디어 현황

급변하는 뉴미디어 시대에 서 살아 남기 위한 미국 언론의 몸부림은 처절할 정도다. 신문 구독률이나 방송 시청률의 변화가 바로 언론사 수익과 직결되기 때문에 미국 언론으로서는 소비자들의 변화와 세태의 흐름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 실제 미국의 언론재벌 ‘트리뷴’이 2008년 12월 파산보호를 신청했고, 미국의 주요 방송도 2009년 10%씩 광고수익 손실을 기록했다. ABC는 뉴스 부문 전체 인력의 20~30%인 300~400명을 줄일 것이라고 2010년 발표했다.

이미지 확대


이런 현실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적인 뉴스 전문 케이블 채널인 CNN은 홈페이지에 ‘i리포트t’라는 코너를 만들어 미국은 물론 세계 각지의 시청자들이 직접 자신이 ‘i기자’로서 제작한 뉴스를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CNN은 시청자가 올린 i리포트를 편집하거나 수정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정함으로써 ‘고객’들을 끌어모으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그 중 ‘품질’이 괜찮은 것은 정규 뉴스에 내보내기도 한다.

CNN은 또 정규 뉴스 중간중간에 트위터를 통해 올라오는 국민들의 여론을 가감없이 소개해주는 코너도 운영하고 있다. 그냥 곁다리 코너가 아니라 날씨 코너처럼 고정 앵커가 진행하는 비중 있는 코너다.

●통합뉴스룸 시스템이 대세

뉴미디어 출현에 신문들도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워싱턴포스트와 뉴욕타임스(NYT) 등 대부분의 언론들은 자사의 뉴스를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각종 뉴미디어를 통해 접근 가능하도록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홈페이지 초기화면의 길이가 다른 사이트의 몇배가 될 정도로 온라인 뉴스에 공을 들이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변하자 언론사의 업무 형태도 급속히 변하고 있다. 종이신문과 인터넷, 모바일, 동영상을 아우르는 통합뉴스룸은 이미 대세가 됐다.

조직과 업무공간의 통합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목적이다. 이렇게 되자 기자 한 명이 종이신문용 기사와 온라인 뉴스용 기사, 동영상 취재 등 1인 다역을 맡아야 한다. 가히 ‘슈퍼맨 기자’를 요구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물론 기자들의 노동 강도는 더 세진 셈이다. 신문기자의 경우 하루 한 번 하던 기사 마감을 온라인 뉴스 때문에 수시로 해야 하는 상황을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조직·업무공간 통합 효율 극대화

하지만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는 일이다.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기자들은 어쩔 수 없이 언론계를 떠나는 사태로 몰리고 있다.

미국 전체적으로 기자들 가운데 해마다 수만여명이 뉴미디어 부적응으로 일자리를 잃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온라인의 비중이 커지면서 온라인 뉴스 유료화도 조심스럽게 시도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신문인 뉴욕타임스가 선봉에 섰다. 이 신문은 지난 3월 온라인 이용자들에게 요금을 부과하는 유료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유료화는 휴대전화와 태블릿PC, PC 등을 통해 인터 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이용객을 대상으로 도입됐다. 사용하는 단말기별로 부과 금액도 다르다.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신문을 구독하는 독자는 월 15달러, PC나 태블릿PC 앱 이용자는 월 20달러의 요금을 내야 한다.

PC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연동해 사용하는 데는 월 35달러를 부과한다. 단, 기존 종이신문 구독자들에게는 웹과 앱을 통한 신문구독을 무료 제공하며, 유료 회원이 아닌 독자들의 경우 한 달에 기사 20건까지만 무료로 읽을 수 있다.

NYT는 지난 1996년 처음으로 온라인 뉴스 유료화를 시도했다가 독자들의 이탈로 중단했고, 2005년에도 유료 콘텐츠 사이트를 만들었던 적이 있다. 이렇게 몇번 실패했던 유료화를 다시 도입한 것은 그만큼 온라인 뉴스에서 수익을 거두지 못하면 생존이 힘들어진 시대가 됐다는 방증이다.

●변화 적응 못하는 기자 언론계 떠나

일각에서는 NYT의 도전이 어둡지만은 않다는 관측도 있다. 2002년 유료화를 단행한 영국의 파이낸셜 타임스의 경우 디지털 서비스 수익의 55%를 유료 콘텐츠를 통해 올리고 있다는 점에서 NYT도 해볼 만하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온라인 뉴스 유료화로 성과를 내고 있다. 이 신문의 유료 온라인 독자는 약 100만명이다. 온라인 부문 매출 연 2억 5000만 달러 중 절반은 구독료, 절반은 광고에서 나온다.

아이패드 등장 이후 신규 독자 2만 7000명이 유료(연 200달러)로 아이패드 앱을 내려받고 있다. 물론 일각에서는 파이낸셜 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둘 다 경제신문이라는 점에서 종합일간지와의 비교는 적절치 않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경제 정보가 됐든 뭐가 됐든 독자가 얻고 싶은 정보를 제공할 수만 있다면 독자들은 언제든 지갑을 열 준비가 돼있다는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실제 최근 들어 뉴미디어 난립과 선정성 경쟁으로 뉴스의 정확성과 심층 분석, 언론 정신 등의 가치가 다시 중요시되면서 정론지들의 위상과 수익이 호전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NYT가 지난해 오랜만에 적자를 벗어난 것이 그 신호탄일 수 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7-18 5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