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전 톡톡 다시일기] <3> 왕양명 ‘전습록’

[고전 톡톡 다시일기] <3> 왕양명 ‘전습록’

입력 2010-01-25 00:00
업데이트 2010-01-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 사람아… 그렇게 채우려하면 공부가 되나”

‘전습록’(傳習錄)은 양명의 제자들이 스승의 말씀과 편지 등을 모아 편찬한 양명학 교과서다. ‘전습’이란 말은 (스승에게서) 전수받은 것을 열심히 익힌다는 뜻이다. 이 제목은 앎이 곧 실천의 문제임을 강조했던(지행합일) 양명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한다. 나를 일깨워준 스승의 말씀은 박물관의 유물들처럼 그저 곱게곱게 보관되어 감상되는 골동품이어선 곤란하다. 스승의 가르침은 지금 현재 나의 실천(習)과 함께여야 한다.

이미지 확대


전습록에서 제자들은 묻고 스승은 답한다. 나의 물음이 구체적이고 절실할수록 스승의 대답은 내 삶에 직접 다가온다. 이런 까닭에 전습록은 제자와 스승이 나누는 문답의 내용뿐만 아니라 문답이 이루어지는 여러 상황(시추에이션)을 추측하고 상상하면서 읽어갈 때 비로소 ‘뻥’ 뚫린다. 그 순간 우리들은 바로 그 제자가 되고 바로 그 스승이 되는 특별한 경험과 만난다.

●불평하는 말단 공무원… 딴소리하는 제자들

때문에 전습록은 양명의 말과 글에 관한 기록이지만, 사실상 양명과 그 제자들이 함께 완성한 공동의 저작물이다.

내(육징=양명의 제자)가 홍려시에 잠시 머물 때 갑자기 집에서 편지를 보내 아이가 병에 걸려 위급하다고 알려 왔다. 내 마음은 매우 근심스럽고 번민스러워 감당할 수가 없었다. 선생께서 말씀하셨다. 이런 때 바로 공부를 해야 한다. 만약 이런 때를 놓쳐 버린다면 한가한 때의 강학이 무슨 쓸모가 있겠는가. 사람은 바로 이와 같은 때 연마해야 한다.(44조목)

자식이 아파 죽어간다는데도 양명은 바로 지금이 공부를 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자식이 죽어간다는데도 공부를 하라고? 양명의 이 말은 자식 걱정을 하지 말라는 말도 아니고, 가족과 인연을 끊어야 한다는 말도 아니다. 공부란 바로 그렇듯 위급하고 절박한 상황 속에서 중심을 잡기 위해 필요한 것이란 뜻이다. 정작 절박한 순간에 아무 도움이 못 된다면 그런 공부는 쓸모가 없는 것이다.

전습록에는 힘든 잡무에 스트레스가 쌓여 돌아버릴 것 같다는 말단 공무원 제자의 볼멘 불평이 있고, 스승의 말씀이 미심쩍어 뒤에서 딴소리하는 제자의 모습도 있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또한 그 배움의 정원에서 스승의 가르침에 함께 놀라고, 두려워하고, 갸웃거리고, 깡총거리고, 환호작약한다. 그들은 그 모든 살아가는 순간을 자신들의 공부가 이루어지는 현장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바로 그 시끄럽게 복닥거리는 사건 사고들이 놓인 현장의 한복판에서 양명의 강학원은 다른 어떤 철학보다도 풍성한 삶의 지혜를 길어올렸다.

양명은 전사(戰士)였다. 30대 후반 이후 전쟁터를 떠난 적이 거의 없다. 죽음조차도 길 위에서 맞았다. 하지만 그 어느 곳에서도 배우고 가르치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는 틀림없는 학자였다. 정식으로 과거에 급제한 문인(관리)이기도 했다.

그는 어디에서든 배웠다. 출병을 준비하는 중에 제자들의 방문을 받기도 하고, 심지어는 말을 탄 채 길 위에서 강학을 벌인 적도 있었다. 양명에게 배움은 특별한 장소에서 특별한 텍스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처음부터 끝까지 그가 몸으로 체득한 중요한 원칙이었다. 지금 우리들 각자가 놓여 있는 곳! 바로 거기가 배움이 시작되고 또 끝나는 자리다. 배움에 필요한 유일한 조건은 지금 이 자리에서 배움을 구하겠다는 나의 마음뿐이다.

양명이 이렇듯 배움을 강조한 이유는 양명에게 앎은 곧 행이었기 때문이다. 양명은 이렇게 말한다. “아직까지 알고서 행하지 않는 사람은 없었다. 알면서도 행하지 않는 것은 다만 아직 알지 못한 것이다.” 일견 너무도 간단해 보이는 그의 말이 새삼스럽게 낯설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우리는 종종 어떤 행위에 대해 그럴듯한 변명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예를 들어 담배를 끊어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이러저러한 이유로 피운다는 식의. 하지만 양명에 따르면 나의 행동과 나의 앎은 분리되지 않는다. 지금 내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그것이 곧 나의 앎의 수준이다. 알면서 못하는 게 아니라, 모르기 때문에 못하는 것이다.

●인욕을 줄여야 본심을 실천할 수 있어

양명은 제자들에게 공부란 쌓는 것이 아니라 덜어내는 것임을 반복해서 강조했다. 쌓는 공부가 지식을 가리킨다면, 덜어내는 공부는 본심(양지)의 회복을 의미한다. “한 푼의 인욕을 줄일 수 있다면 곧 한 푼의 천리(天理)를 회복할 수 있다. 얼마나 경쾌하고 깨끗한가! 얼마나 간단하고 쉬운가!”

인욕을 줄인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그것은 매순간 사사로운 마음에 구애됨 없이 나의 행위를 선택한다는 뜻이다. 우리는 어느 누구와도 똑같은 삶을 살지 않는다. 심지어 자기 자신의 삶에서도 매순간 다른 삶을 산다. 그 순간마다 사사로운 욕망에 좌우되지 않는 용기와 의지를 가질 것! 그러한 본심을 실현하는 데 주저하지 말 것! 왕양명은, 아니 전습록은 이렇게 말한다.

문성환 수유+너머 강원 연구원
2010-01-25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