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전 톡톡 다시일기] 시골 유배지서 물 긷다 아하!

[고전 톡톡 다시일기] 시골 유배지서 물 긷다 아하!

입력 2010-01-25 00:00
업데이트 2010-01-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골목대장 왕양명 어떻게 깨달음 얻었나

왕양명(王陽明·1472~1528)은 사대부 명문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미지 확대
양명체로 잘 알려진 왕양명의 글씨.
양명체로 잘 알려진 왕양명의 글씨.


하지만 활쏘기와 전쟁놀이를 좋아한 골목대장이었고, 불교와 도교에 탐닉했던 ‘문제아’이기도 했다. 이런 까닭에 양명에게는 백면서생, 꽁생원, 글방도련님 등등으로 표상되는 ‘낡은’ 유학자의 이미지는 찾아볼 수 없다. 대신 순진한 열정, 강인함, 정의로움 등의 이미지가 각인된다.

청년기의 양명은 누구보다도 열렬한 주자주의자였다. 10대 후반, 양명은 같이 공부하던 친구와 함께 주자의 말씀을 좇아 대나무의 이치를 탐구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양명이 먹고 자는 것도 잊고 일주일 간이나 노려보던 대나무에서는 끝내 이치가 ‘발견’되지 않았다.

정작 양명이 깨달음을 얻은 것은 대나무를 탐구한 때로부터 10여년이 흐른 뒤였다. 30대 중반에 양명은 부정부패를 일삼던 환관 유근을 탄핵하다 좌천되어 용장(龍場)이라는 시골 마을로 유배되었다. 각종 독충과 독사들이 우글거리는 ‘미개한’ 지역이었다.

깨달음은 도둑처럼 왔다. 때론 직접 물을 긷기도 하고, 병이 난 종들을 보살피는 와중에 어느날 문득 양명은 자신의 모든 근심이 오직 마음에서 연원한 것임을 깨달았다.

요컨대 내 마음을 떠나서는 어떠한 근심도, 사건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 그러므로 내 마음이 곧 이치(심즉리)라는 것. 양명은 훗날 이 순간을 가리켜 “자신도 모르게 손과 발이 저절로 춤을 추며” 기뻐했다고 회고했다. 이 한 마디(심즉리)로 양명은 동아시아 유학사에서 주자와 비견되는 유일한 인물로 기억된다.

서울신문·수유+너머 공동기획
2010-01-25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