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5> 중국 漢 시대 벽돌 용무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세계의 조형예술 龍으로 읽다] <5> 중국 漢 시대 벽돌 용무늬 /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입력 2015-02-05 17:52
업데이트 2015-02-06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1영기싹과 보주 꿈틀~ 龍은 ‘만물 생성의 근원’

용은 ‘제1영기싹’이나 ‘보주’로 구성돼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이를 납득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우리의 과학적·철학적 사고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평생 한 번도 배우지 못한 지식일 뿐만 아니라 그 조형의 비밀을 해독한 사람도 없어서 낯설기 그지없다. 여기에서 말하는 제1영기싹은 형이상학적 용어다. 보주도 마찬가지다. 제1영기싹이나 보주를 올바르게 쓴 글을 세계 어디에서도 접해 본 적이 없다.

이미지 확대
누군가에게 용이란 무엇인가를 물으면 모두 ‘상상의 동물’이라고 말한다. 이 말은 용의 개념을 전혀 모르고 있다는 뜻이다. 상상의 산물도 아니고 동물도 아니다. 우주의 영기를 압축한 형태인데 무슨 뿔이 있으며 코, 눈, 다리, 꼬리 등이 있단 말인가. 사람들이 조형예술의 세계에 대해 현실에서 봤던 비슷한 것을 찾아 무책임하게 명칭을 만들어 버리면 그것이 그대로 내려와 굳어 버려 고치기 어렵다. 게다가 용과 보주는 뗄 수 없는 관계인데 그런 글도 접한 적이 없다.

우선 ‘제1영기싹’은 도르르 말린 모양이다. 그 형태는 식물이나 동물이 처음 생겨날 때 취한 모양이지만 어떤 특정한 동물이나 식물로 지칭해서는 그 상징성이 축소될 수 있다. 현실을 초월한 형이상학적 용어이므로 무한히 다양하게 조형적으로 전개되며 무한한 상징성을 띤다. 만물 생성의 근원인 제1영기싹은 성장해 앞으로 무엇이 될지 알 수 없다. 우리가 현실에서 본 이 세상 모든 만물로 형상화될 수도 있고, 현실에 없는 형태로 형상화될 수도 있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형태로 표현하면 아무에게도 안 보인다. 필자의 작업은 바로 보이지 않는 영기문을 해독해 하나하나 여러분에게 보여 드리는 것이다.

중국 한(漢)시대에 만든, 속이 빈 벽돌 표면에 압인(押印)한 용무늬가 있다. 두 뿔도 제1영기싹 영기문이고, 꼬리는 물론 등이나 하반부의 등에서도 제1영기싹이 발산하고 있는데 실은 제1영기싹으로 구성된 용의 몸에서 나오는 제1영기싹이다. 앞가슴에도 제1영기싹이 내재돼 있으며 네 발 뒤꿈치나 발톱, 윗입술과 아랫입술에서도 위아래로 제1영기싹이 발산하고 있다. 이것은 용이란 존재가 제1영기싹으로 구성돼 있어서 제1영기싹이 여기저기 몸에서 발산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런데 몸 가운데 곳곳에는 둥근 모양의 보주들이 배치돼 있다. 보주를 빽빽이 배치하면 조형상 보기가 좋지 않으므로 듬성듬성 배치해 용이란 존재가 보주의 집적이라는 것을 웅변한다. 용이란 원래 보이지 않는, 우주에 가득 찬 영기를 형상화한 것이다. 중국 한시대 용의 모습에 대한 설명을 읽어 보면 올바른 것이 거의 없다. 중국인이 창조해 놓고 알아보지 못하니 아이러니하다. 시대가 내려오면서 사람들은 뿔을 현실에서 보는 뿔처럼, 발톱도 현실에서 보는 날카로운 독수리 발톱처럼 표현하면서 본래의 조형을 점점 잊어버리게 됐다. 그러므로 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는 용은 용이 아니다. 그리고 옆으로 표현하면 용이라 부르고 용의 정면을 표현하면 괴수 혹은 귀면(鬼面)이라 부르니 어찌할 것인가.

강우방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장
2015-02-06 1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