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8] 문화재가 된 빈대떡집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18] 문화재가 된 빈대떡집

입력 2015-09-16 09:15
업데이트 2015-09-18 1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역사박물관에 재현된 빈대떡집 청일집의 내부
서울역사박물관에 재현된 빈대떡집 청일집의 내부


서울 세종로 네거리의 교보빌딩 뒷골목은 옛날부터 빈대떡으로 유명했다. 삼청동에서 발원해 지금의 여성가족부 청사 앞에서 청계천에 합류하는 중학천을 복개하면서 만들어진 골목이었다. 이 곳에 빈대떡 집이 모여들기 시작한 것은 1965~1966년 중학천이 복개되기 한참 이전인 1945년 광복 직후라고 한다.

1960년대 후반 어느 날, 어른들을 따라갔던 이 골목의 빈대떡 맛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돼지기름을 둘러 노릇노릇하게 구운 빈대떡에 어리굴젓을 얹어 먹는 맛은 감동적이었다. 어른이 되고 수 십년동안 이곳을 자주 찾은 것은 물론이다.

이 골목에는 얼마 전까지 몇몇 빈대떡 집이 남아 명성을 이어가고 있었다. 청일집과 경원집, 장원집, 그리고 피맛골 초입에 열차집이 있었다. 그런데 2000년 재개발 공사가 시작되면서 서울의 대표적 명물 거리의 하나였던 광화문 빈대떡 골목은 명맥이 끊길 수밖에 없었다. 청진동 해장국 골목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것도 비슷한 시기다.

하지만 빈대떡 골목은 인위적으로 퇴출되는 시련을 겪었어도, 빈대떡 집은 사라지지 않았다. 청일집과 장원집은 가까운 르메이에르빌딩에, 경원집은 지하철 경복궁 옆 주변 적선동에, 열차집은 보신각과 조계사 사이 공평동에 각각 새로운 터전을 잡은 것이다. 빈대떡 맛에서도 우열을 가릴 수 없었던 네 가게 주인들은 “장사를 접고 싶어도 단골손님들 때문에 접을 수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그만큼 ‘광화문 빈대떡’은 팬이 많았다.

이미지 확대
서울역사박물관에 재현된 청일집 전경
서울역사박물관에 재현된 청일집 전경


광화문 빈대떡 골목의 역사는 일부지만 영구보존의 기틀이 마련됐다. 재개발 소식이 들려오자 청일집의 단골손님이었던 서울역사박물관 직원들은 집기 일괄 기증을 제안했다. 취지에 공감한 주인은 1000점 남짓한 집기며 간판에 실내장식까지 일체를 기증했다.

지금 서울역사박물관의 2층 전시실에 가면 중학천 시절의 청일집을 그대로 복원한 빈대떡집을 만날 있다. 맷돌 돌리는 소리와 빈대떡 부치는 소리는 들을 수 없고, 고소한 냄새도 나지 않지만 옛 정취를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더불어 이 곳에 가면 오래된 과거의 흔적만이 문화재이고, 문화유산이라는 강박관념도 떨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이전한 청일집에서 빈대떡을 부치는 모습
이전한 청일집에서 빈대떡을 부치는 모습


이미지 확대
청일집의 빈대떡과 어리굴젓
청일집의 빈대떡과 어리굴젓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빈대떡집을 보고 나면 꼭 청일집이 아니더라도 네 곳의 빈대떡집 가운데 한 곳을 찾아가 보면 좋을 것이다. 네 곳의 스타일은 조금씩 다르지만 어느 집에 가나 후회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청일집 여주인은 지금도 “청일집에 시집온 뒤 40년 넘게 손님들로부터 맛없다는 말을 한번도 들어보지 못했다”고 큰소리친다. 당연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그러니까.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바로가기 ☞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