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칠갑산 장곡사 ‘밥그릇 부처’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칠갑산 장곡사 ‘밥그릇 부처’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12-18 17:58
업데이트 2015-12-18 22: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밥그릇 든 약사여래 불상… ‘가난 구제가 명약’ 무언의 가르침

충남 청양은 전통적으로 구기자가 많이 나는 고장이지만 지금은 매운 고추의 대명사가 됐다. 사실 우리나라 고추의 오래된 본고장은 경북 청송(靑松)과 영양(英陽)이라고 할 수 있다. 두 곳에서 한글자씩 따서 청양고추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산지가 많은 청양은 태백산맥 서쪽의 청송·영양만큼이나 일교차가 크다. 맛있는 고추의 생육에 매우 적절한 자연 조건이라고 한다. 청양(靑陽)이라는 땅이름도 청송·영양 고추의 전통을 이어받은 새로운 고추의 고장으로 명성을 날리게 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이다.

이미지 확대
충남 청양 장곡사 하대웅전에 모셔진 약사여래. 약그릇 대신 밥사발을 들고 있다.
충남 청양 장곡사 하대웅전에 모셔진 약사여래. 약그릇 대신 밥사발을 들고 있다.
이미지 확대
충남 청양 장곡사 하대웅전.
충남 청양 장곡사 하대웅전.
●장곡사 상·하 대웅전 따로… 약사여래 주존 모셔

칠갑산은 이런 청양을 대표하는 명산이다. 가수 주병선이 1989년 발표한 ‘칠갑산’은 국악가요로는 유례없이 크게 히트했다. 지금도 노래방에 가면 ‘콩밭 매는 아낙네야, 베적삼이 흠뻑 젖는다’로 시작하는 이 노래를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다.

과거 칠갑산 주변에는 화전을 일구어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았다. 이 노래 또한 먹을 것이 없어 어린 딸을 민며느리로 보내야 하는 화전민 어머니의 애끊는 사연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칠갑산 도립공원 들머리에는 최근 ‘콩밭 매는 아낙네상(像)’도 세워졌다.

칠갑산 등산로를 따라 조금 오르면 장곡사가 나온다. 다른 절집과는 달리 상(上) 대웅전과 하(下) 대웅전이 따로따로다. 두 대웅전은 모두 약사여래를 주존으로 모시고 있다.

●‘약사발’은 우주의 대생명력을 응축해 놓은 용기

약사여래는 중생을 질병의 고통에서 구제하는 부처다. 약사여래는 무릎에 올린 왼손에 작은 그릇을 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흔히 약사발이라고들 하지만, 엄밀하게 표현하면 ‘치유의 능력을 가진 우주의 대(大)생명력을 응축해 놓은 용기’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하대웅전의 약사여래는 단아하고 균형 잡힌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보여 주는 데다 충목왕 2년(1346)이라는 조성 시기도 분명해 보물로 지정됐다.

그런데 가만히 보면 약사여래가 들고 있는 것은 약사발이 아니라 밥그릇 모양을 하고 있다. 그것도 잘 지은 밥을 고봉으로 담았다.

●약보다 밥이 소중했을 1346년 조성… 보물로 지정

약사여래가 조성된 14세기 중엽의 청양 사람들은 ‘칠갑산’ 노래의 배경이라는 20세기 초·중반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약보다 밥이 훨씬 더 소중했을 것이다.

결국 약사여래의 밥그릇이란 가난한 이들에게는 끼니를 거르지 않게 하는 것이 곧 고통에서 구해 주는 명약이라는 무언의 가르침이 아닐 수 없다.

하대웅전 약사여래의 ‘깊은 뜻’을 새기고 ‘콩밭 매는 아낙네상’에 적힌 ‘칠갑산’ 노래의 가사를 다시 천천히 읽어 보면 그 울림은 전과 같지 않다.

글 사진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12-19 15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