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靑, 北 가벼운 도발에 발끈하더니 결국

靑, 北 가벼운 도발에 발끈하더니 결국

입력 2013-04-16 00:00
업데이트 2013-04-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대화 제의 거부 이후] 靑, 北 대화 거부에 강경 발언 오버액션 논란에 ‘침묵’모드로

청와대는 15일 대북 대화 제의를 포함한 안보 위기와 관련해 말문을 열지 않았다. 전날 주철기 외교안보수석이 심야 긴급 브리핑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이라며 북한의 대화 제의 거부에 강경 입장을 쏟아냈던 것과는 달라진 분위기다.

박 대통령은 이날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도 새로운 대북 제안을 포함한 북한 관련 언급을 일절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행 대변인은 “(북한 관련해) 한마디도 없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를 놓고 일각에서는 ‘말의 확전’을 원치 않는 박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남북한이 대화 성사 여부를 놓고 치열한 기 싸움을 벌이고 있는 만큼 잠시 숨고르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다. 북한도 대화의 끈을 완전히 끊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같은 해석에 힘이 실린다.

통일부는 이날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를 북한이 거부한 것에 대해 거듭 유감을 표명하면서도 북한과의 대화 여지를 남겨뒀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대화의 장으로 나올 것을 거듭 촉구했다.

그럼에도 청와대가 북한의 반응에 대해 ‘오버했다’는 지적이 없지 않다. 북한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대변인의 기자 문답 형식 발언에 청와대가 지나치게 격하게 반응했다는 얘기다. 주도권을 두고 ‘밀고 당기기’를 하다가 갑자기 청와대가 나서면서 싸움의 격이 올라가 수습책이 마땅치 않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청와대의 이날 ‘침묵’이 오버 액션에 따른 적절한 후속 조치가 없다는 점을 의미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국가 안보의 컨트롤 타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원 보이스’(하나의 목소리를 위해 한 부처에서 대응)라는 원칙마저 허물면서 청와대가 직접 나선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이에 대해 주 수석은 “우리는 성의가 가득한 대화 제의를 했다고 볼 수 있는데 (북한이) 무성의하게 처리한 데 대한 비판적 시각이 있었다”면서 “격을 높인 건 강도를 높인 것으로, 메시지를 (북한에) 좀 강하게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진정성을 강조하고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청와대가 나섰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조평통 대변인의) 정부 비판도 상당한 데다 우리 통일부 장관이 왜 괴뢰 통일부 장관이 돼야 하나, 남조선 집권자라는 온당치 못한 표현도 있었다”면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도 오고 중국도 (거들고) 그랬는데 북한이 이렇게 (대화를 거부하고) 나오니 한마디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북한 당국자나 언론 매체가 통상적으로 남측을 향해 이 같은 용어나 표현을 자주 써 왔다는 점에서 이러한 설명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한 외교 소식통은 “청와대의 이번 대응은 스스로 격을 낮춘 것”이라면서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없으면 출구가 없는 구조가 돼 버렸다”고 꼬집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