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與 “정성근도 회의적”… 朴대통령 ‘결단의 주말’

與 “정성근도 회의적”… 朴대통령 ‘결단의 주말’

입력 2014-07-12 00:00
업데이트 2014-07-12 0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명수·정성근 이어 정종섭 후보까지 청문보고서 채택 불발

11일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이 사실상 불발됐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어 김명수, 정성근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보고서 채택 여부를 논의하려 했으나 야당이 전날 정 후보자의 ‘거짓 증언’을 문제 삼아 회의를 보이콧하면서 열리지 못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정종섭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도 거부해 안전행정위도 파행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박근혜 대통령을 정면으로 압박했다. 김한길 공동대표는 “대한민국의 시계는 (세월호가 침몰한) 4월 16일에 그대로 멈췄다. 하자투성이 후보자들을 지켜보며 새로운 대한민국은 출항조차 못한 채 침몰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안철수 공동대표도 “후보자의 전력과 행태가 낯뜨겁다”면서 “‘불법 행위와 부끄러운 행위를 해도 지나면 그만’이라는 식의 반칙을 가르쳐야 하겠나. 아이들이 뭘 보고 배우겠나. 실망한 민심을 (박 대통령이) 어떻게 수용할지 답을 내놔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정성근 후보자의 지명 재고 요청은 정치 공세가 아니라 바로 도덕성과 자질의 문제다. 박근혜 정권 품격과 대한민국 품격의 문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반면 새누리당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청문회 초반 ‘전원 통과’를 목표로 한 상황에서 ‘국무총리 후보자 2명+장관 후보자 2명=4명 낙마’가 현실화되면 7·30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인사 참사’라는 비판에 다시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낙마’나 ‘옹호’ 쪽으로 입장을 명확히 정하지 못하고 청와대의 ‘신호’만 기다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 후보자는 새누리당 내에서도 이미 불가론이 대세가 됐지만 공식적으로 나온 ‘전체 입장’은 없다. 의원들이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불가’ 의견을 하나둘 흘릴 뿐이다. 한 새누리당 소속 교문위원은 “김 후보자에 대한 여론은 이미 정해져 있지 않으냐”며 “자진 사퇴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가 돈다”고 전했다. 당초 14일 열릴 예정이던 서남수 교육부 장관과 출입기자단의 고별간담회가 이날 갑작스레 취소된 것도 김 후보자의 사퇴설에 힘을 더하고 있다.

정 후보자에 대한 여당 내 의견도 불가론 쪽으로 기울고 있다. 김 후보자 임명이 힘든 마당에 정 후보자만이라도 ‘마지노선’으로 지켜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아파트 분양을 둘러싼 ‘거짓 증언’의 타격이 커 통과가 힘들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 교문위원은 “‘논의 중’이라는 말밖에 못한다”면서도 “정 후보자 의혹이 너무 많다. 새정치연합 권은희 후보 보고 거짓말했다고 비판하면서 정 후보는 어쩔 건가”라고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한편 정 후보자 측은 이날 해명 자료를 내고 ‘거짓 증언’ 논란 대상이 된 일원동 기자 아파트 거주 여부와 관련해 “최소 8개월 이상 거주한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국회 안행위도 이날 정종섭 후보자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위한 전체회의를 열었으나 야당 의원들이 “‘부적격’을 명시한 보고서가 아니면 채택을 거부한다”며 불참해 파행했다. 야당 안행위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언제든 새누리당이 ‘부적격’ 명시에 동의한다면 전체회의를 열어 보고서를 채택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르면 14일 이들 후보자에 대한 임명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4-07-12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