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추석 여론전 키워드…與 ‘경제’ vs 野 ‘세월호’

추석 여론전 키워드…與 ‘경제’ vs 野 ‘세월호’

입력 2014-09-04 00:00
업데이트 2014-09-04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특별법 문제를 둘러싼 파행 정국이 이어지는 가운데 추석 연휴를 앞둔 여야는 4일 명절 ‘밥상머리 민심’을 잡기 위한 전략에 골몰했다.

정국 교착 상태에 대한 여야의 공동책임론이 비등한 상황에서 이번 추석 민심을 어떻게 끌어당기느냐에 따라 향후 세월호 특별법 협상과 정기국회에서의 주도권을 쥘 수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세월호 특별법과 민생법안의 분리 처리를 강조하며 연일 야당의 의사일정 협력을 압박했다.

김무성 대표는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도 노동계, 재계, 서민임대주택 등을 찾아 경제활성화와 복지 대책을 마련하는 데 주력함으로써 야당과의 차별화 행보를 시도했다.

김 대표는 4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 경제 경제지표가 심각하게 안 좋아 잘못하면 장기간 회복하기 어려운 늪으로 빠져들 수 있다”면서 “추석 때 지역에 내려가면 국회 입법이 막혀 있으니 큰일이라고 국민께 호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은 이와 함께 ‘경제회복 골든타임을 놓치면 안 됩니다’라는 홍보물을 제작, 전국 당협에 배포해 국회에 계류 중인 규제 완화와 서비스산업 발전, 복지 법안 등을 처리해 일자리 창출과 소외계층 지원에 시급히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며칠 후면 보름달처럼 풍요롭고 넉넉해야 할 추석 명절임에도 서민이 체감하는 경기는 한겨울의 칼바람보다 차갑다”면서 “지금 야당이 있어야 할 곳은 거리가 아니라 국회다. 추석 전에 여야가 의사일정 합의라도 끝내는 것이 비정상적인 국회를 정상화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세월호 특별법이 최우선의 민생법안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여론전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추석을 맞아 지역에 내려가는 의원들을 통해 세월호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특별법을 둘러싼 오해를 해소하는 ‘동시다발’ 홍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세월호 특별법 제정 촉구 메시지와 함께 당이 추진하는 민생·안전법안을 소개하는 정책홍보물도 만들어 배포하기로 했다.

야당이 세월호 특별법에만 매달려 국회를 버렸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만큼 특별법 제정의 당위성을 강조해 불리한 여론을 정면돌파해보겠다는 의도도 깔렸다.

진성준 전략기획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중앙당에서의 집중 대응보다는 의원들 각자가 귀향활동을 통해 시민을 직접 만나 세월호 특별법과 관련한 해명작업들을 광범위하게 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세월호 특별법 문제는 반드시 우리가 처리하고 가야 한다는 민심이 형성되게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은 이와 함께 국정 운영을 주도해야 할 정부와 여당이 세월호 참사 이후 후속 대책 마련과 정기국회 의사일정 협의에 소극적인 만큼 결국 정국 파행의 책임이 정부·여당에 있다는 점을 부각시킬 계획이다.

당 지도부는 추석 당일인 8일엔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 유가족들이 합동 차례를 예정하고 있는 만큼 그 자리에 함께 해 가족들을 위로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광화문 광장에서 진행 중인 의원들의 릴레이 단식 농성도 연휴 내내 이어가기로 하고 신청자를 받아 순번까지 정해두었다.

물론 새정치연합은 추석 전 세월호 특별법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최상의 시나리오라고 생각하고 연휴까지 남은 이틀 동안 새누리당을 강하게 압박할 예정이다.

한정애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송광호 의원의 체포동의안을 부결시켜 국민에게 최악의 추석 선물을 안긴 새누리당이 이를 만회할 길은 추석 전 유가족, 야당과 세월호 특별법 논의를 진행하는 것”이라며 “철저한 진상 규명을 위해 성역없는 조사·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원칙이 무엇보다 우선이란 걸 유가족 앞에 확인하고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