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성추행 몰랐다, 고소인 모른다”… 함구하는 ‘박원순 사람들’

“성추행 몰랐다, 고소인 모른다”… 함구하는 ‘박원순 사람들’

신융아 기자
신융아, 이민영 기자
입력 2020-07-14 21:14
업데이트 2020-07-15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전직 부시장·비서실장들 해명

피해자, 2017년부터 주변에 피해 토로 주장
市 “관련 자료 없어 공식 피해 접수 안한 듯”
朴 보좌한 전현직 비서실장 전화 안 받아


김원이 “정무 담당이라 비서실 전혀 몰라”
허영 “이번 사건 일어난 뒤에야 처음 알아”
“2차 가해 막으려 죽음” 윤준병 발언 논란
이미지 확대
서울시청 앞에 마련된 고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분향소
서울시청 앞에 마련된 고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분향소 11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 고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분향소가 마련돼 있다. 2020.7.11 연합뉴스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사건의 피해자인 전직 비서가 2017년부터 이 사실을 주변에 알렸지만 묵살됐다고 주장하면서 박 전 시장 핵심 참모들의 사전 인지 여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측근 대부분은 이를 몰랐다고 해명하고 있다. 또 일부 전·현직 시장 비서실장은 사전 인지 여부에 대해 함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인권담당관, 인권위원회, 감사위원회 등 공식 창구로 성추행 피해 사실이 접수되지 않아 몰랐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14일 “어제 기자회견을 보면 피해자가 비서실 관계자에게 피해 사실을 호소하거나 부서 이동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며 “관련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현재로서는 누구에게 어떤 내용을 알린 건지 파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2018년 7월부터 지난 4월까지 박 전 시장을 보좌하며 비서진 업무를 총괄한 오성규 전 비서실장과 현직인 고한석 비서실장은 모두 전화를 받지 않고 있다.

박 전 시장과 호흡을 맞추다 21대 국회에 대거 입성한 서울시 출신 정치인들은 성추행 의혹을 사전에 몰랐다고 답했다. 2016년 7월~2017년 10월 비서실장과 정무수석을 지낸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은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이 사실을 알게 된 건 이번 사건이 발생한 뒤”라며 “서울시가 자체적으로 조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3~11월 정무부시장을 지낸 김원이 의원도 “정무부시장이었기 때문에 비서실 쪽은 어떻게 구성됐는지 모른다. 고소인이 누구인지도 전혀 모른다”고 해명했다. 2018년 서울시의회 법률 고문 역할을 했던 민병덕 의원은 “시의회 입법 고문을 맡은 것이라 서울시와는 관계가 없다”고 설명했다.

2018년 1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행정1부시장을 지낸 윤준병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미투 고소 진위에 대한 정치권 논란과 그 과정에서 피해자 2차 가해 등을 방지하기 위해 (박 전 시장이) 죽음으로서 답한 것”이라고 썼다가 논란이 일자 “2차 피해가 없기를 바랄 뿐”이라고 해명을 냈다.

박 전 시장의 ‘복심’으로 불리며 이번 장례에서 공동집행위원장으로서 사실상 상주 역할을 했던 박홍근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정치인 중 가깝다는 제게도 일언반구 거론하지 않았다. 다만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했기에 스스로 목숨을 던진 것 아닌가 추측할 뿐”이라며 “고인으로 인해 고통과 피해를 입었다는 고소인의 상처를 제대로 헤아리는 일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진상 조사 등이 이뤄질 경우 박 전 시장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이들에 대한 조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지난 4년간 서울시장 비서실장 자리를 거쳐 간 분들, 젠더 특보 이런 분들 역시 직무 감독을 소홀히 한 책임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하며 “수사 과정에서 명백히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20-07-15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