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포스트 이준석 놓고 윤핵관 이견…직무대행이냐 조기 전당대회냐

포스트 이준석 놓고 윤핵관 이견…직무대행이냐 조기 전당대회냐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22-07-10 16:52
업데이트 2022-07-10 18: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조기전대 가능성 차단
친윤, 올해 하반기 조기전대 필요성 주장…10~11월 가능성
11일 초선·재선·중진·모임과 의원총회서 의견 분출할듯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07.08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07.08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당원권 정지 6개월의 중징계를 받으면서 차기 당권주자들의 당권 경쟁이 불붙은 모양새다. 다만 이 대표의 징계를 둘러싼 해석이 다른 데다 자진 사퇴 가능성이 남아있는만큼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윤핵관(윤석열 대통령측 핵심 관계자) 의원들이 전당대회 개최 시점을 두고 이견을 보이면서 분화할 조짐도 보인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10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사퇴하지 않는 이상 전당대회는 불가능하다”며 당대표 ‘궐위’가 아니라 ‘사고’라는 자신의 해석이 옳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일 의원총회에서 직무대행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등을 놓고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했다.

 앞서 지난 8일 권 원내대표는 징계 결과가 나오자 곧바로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하면서 당내 원톱으로 자리매김하는 한편 조기 전당대회 가능성을 차단했다. 권 원내대표는 그날 최고위원과 비공개 간담회 후 ‘이 대표가 6개월 뒤 당 대표로 다시 복귀할 수 있다고 판단하느냐’는 질문에는 “당헌·당규상 그렇게 해석되는 것으로 보고받았다”고 답했다.

 내년 4월에 임기가 만료되는 권 원내대표는 일단 직무대행 체제로 가다가 내년 상반기에 전당대회를 하는 시나리오를 선호한다. 이렇게 되면 원내대표 임기를 정상적으로 마친 뒤 당권에 도전할 수 있게 된다. 차기 전당대회에서 뽑히는 당대표는 2024년 4월 총선 공천권을 갖는 만큼 권 원내대표 입장에선 이 시나리오가 최선일 수 있다.

 반면 다른 차기 당권 주자들은 올해 안에 조기 전당대회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직전 원내대표를 지낸 김기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하루빨리 내홍을 접고 질서 있는 정상화를 통해 지도부를 안정시켜야 한다”며 “국민의 삶을 챙기고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뒷받침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과제를 해결하려면 임기응변 차원의 시스템으로는 역부족이다”고 밝혔다. 올해 안에 조기 전당대회를 할 경우 당대표는 총선 공천권이 없지만, 당내 지지 기반을 넓히는 기회로 활용하면 내년 6월 정식 전당대회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권 원내대표를 제외한 대다수 친윤(친윤석열) 그룹이 선호하는 시나리오다.

 일각에서는 절충안으로 내년초 전당대회 개최 방안도 거론된다. 권 원내대표가 연말 정기국회를 순조롭게 지휘한 다음 임기를 마치지 않고 중도 사퇴한 뒤 당권에 도전하는 시나리오다. 김 의원은 이런 시나리오를 경계해 늦어도 오는 10~11월에는 전당대회를 열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그때는 정기국회가 한창이라는 점에서 전당대회 시점으로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제기될 수 있다.

 이밖에도 당헌·당규를 개정해 정식 전당대회를 치러 임기 2년의 당대표를 선출하는 방안, 이 대표가 자진사퇴할 경우 궐위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임시전당대회(잔여임기가 6개월 이상)를 개최하는 방안 등도 거론된다.

 11일 순차적으로 열리는 초선·재선·3선이상 중진 모임과 의원총회에서 각종 의견이 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민영 기자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