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세훈 내곡동 땅 vs 박영선 일본 도쿄 아파트

오세훈 내곡동 땅 vs 박영선 일본 도쿄 아파트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21-03-17 18:23
업데이트 2021-03-17 18: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야 서울시장 후보들 상대방 부동산 문제로 서로 공격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가 9일 오전 서울 강서구 내발산동 발산근린공원에서 서울도시주택공사(SH) 마곡지구 분양원가 인상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2021.3.9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가 9일 오전 서울 강서구 내발산동 발산근린공원에서 서울도시주택공사(SH) 마곡지구 분양원가 인상 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2021.3.9 [국회사진기자단]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 측이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배우자의 내곡동 땅 문제를 비판하자 국민의힘 측은 박 후보의 도쿄 아파트로 반박에 나섰다.

박 후보의 대변인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KBS 보도에 따르면 2006년 3월 서울시는 내곡동 일대 임대주택단지 개발을 위해 건교부에 예정지구 지정을 제안했지만 노무현 정부는 예정지구 지정을 하지 않았다”면서 “관계부처 협의 과정에서 반대가 커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하는 2008년 2월까지 내곡동 일대는 택지개발 예정지구로 지정하지 못했다”고 오 후보의 해명을 반박했다.

고 의원은 오 후보가 서울시장 재직 당시 본인 가족의 땅이 개발지구로 지정되어 36억 5000만원이란 보상을 받았음에도 아무런 법적 하자가 없다며 모르쇠로 일관하는 모습이 부끄럽지 않냐고 추궁했다.

오 후보는 16일 유튜브 방송 ‘신의한수’에 출연해 “오히려 땅이 임대주택지구로 지정돼 큰 손해를 봤다”면서, “10년전 일을 다시 꺼낸 걸 보면 다른 하자를 찾아내지 못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수진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 대변인은 17일 “오세훈 후보에겐 도쿄 아파트가 없다”면서 “도쿄 미나토구 아카사카의 고급 아파트로 인해 도쿄시장 출마하느냐란 얘기 속 주인공은 오 후보가 아니다”라며 박 후보를 공격했다.

일본 도쿄에 집에 있으면서 왜 서울시장을 하겠다는 것이냐며 오 후보의 과거 부동산을 거론할수록 박 후보의 현재 부동산이 조명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영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보유한 도쿄 아파트 사진. 출처:조수진 페이스북
박영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보유한 도쿄 아파트 사진. 출처:조수진 페이스북
게다가 오 후보 부인이 소유했던 내곡동 땅은 1970년 아버지의 작고로 상속한 것이며, 오 후보 장인은 그 아버지로부터, 아버지의 아버지는 아버지의 아버지의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땅이라고 설명했다.

조 의원은 “투기란 시세 변동을 예상하여 차익을 얻기 위해 매매하는 행위를 뜻한다”면서 “1445년 사망한 세종의 다섯째 아들 광평대군의 후손은 광평대군의 묘가 있는 강남 수서역 근처에 사는데 이런 게 투기인가”라고 반문했다.

여야 서울시장 후보의 부동산 문제로 거론된 도쿄 아파트와 내곡동 땅은 모두 오래 전에 알려진 것이다.

박 후보는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국제변호사인 남편 명의로 된 도쿄 아파트에 대해 “남편이 이명박 정권 때 BBK와 관련해서 사찰을 받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일본으로 쫓겨났다”며 “남편이 일본에서 취직하게 됐는데 처음 몇 개월간 렌트비를 내고 살다가 낭비라고 생각해서 아파트를 구입했다”고 해명했다.

오 후보도 내곡동 땅에 대해 10년전 한명숙 전 총리와 서울시장 선거에서 경쟁할 때 이미 해명이 끝난 문제라는 입장이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유고로 치러지는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후보로 나선 인물도 10년 전과 같은데다 상대방을 공격하는 것도 이미 예전에 다 알려진 사안이라 새로운 이슈없이 ‘재탕’이란 지적이 나온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