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6·13 최대관심은 ‘부정부패 척결’… 저출산·주거 새 의제로

6·13 최대관심은 ‘부정부패 척결’… 저출산·주거 새 의제로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8-04-15 22:24
업데이트 2018-04-16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매니페스토실천본부 지방선거 10대 핵심의제 발표

6·13 지방선거 의제로 ‘부정부패 척결’을 유권자들이 가장 선호했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는 지난 1월부터 약 3개월간 전문가 60여명의 의견을 청취해 조사하는 델파이 조사 방식으로 ‘6·13 지방선거 10대 의제’를 확정한 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지난 10~11일 19세 이상 남녀 성인 1057명에게 10대 의제의 선호도를 조사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15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과 대학생 서포터스가 15일 대구 금호강 하중도 유채꽃밭에서 비행기 모양의 풍선을 띄우고 6·13 지방선거 투표 참여 캠페인을 하고 있다. 손에는 ‘6·13 꼭 투표’, ‘우리 동네 후보자 바로 알고 투표하러 가즈아!’ 등의 손팻말을 들었다.  뉴스1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 직원들과 대학생 서포터스가 15일 대구 금호강 하중도 유채꽃밭에서 비행기 모양의 풍선을 띄우고 6·13 지방선거 투표 참여 캠페인을 하고 있다. 손에는 ‘6·13 꼭 투표’, ‘우리 동네 후보자 바로 알고 투표하러 가즈아!’ 등의 손팻말을 들었다.
뉴스1
부정부패 척결은 유권자 4명 중 1명(25%)이 선택한 가장 중요한 의제였다. 이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의 재판이 진행되고, 최근 이명박 전 대통령이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구속되면서 대통령 등 고위 공직자들의 부정부패 문제가 부각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현 정부가 ‘적폐청산’을 진행하기 때문에 부정부패 척결 답변율은 박근혜 정부 시절에 치러진 20대 국회의원 선거 때보다 10.5% 포인트 더 높아졌다.
이미지 확대
이어 선호의제는 청년 등 일자리 창출(14.7%), 지역경제 활성화(11.6%), 소득불균형 완화(9.6%), 공공보육시설 확충 등 저출산 대책 마련(8.9%), 고령화 대비 사회안전망 구축(7.8%), 주거 문제 해결(6.6%), 공교육 강화 및 사교육비 절감(6.1%), 재난안전 시스템 강화(2.5%), 창의적 인재 양성(2%)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19대 대통령 선거 기간 선호한 의제와 비교해 보면 ▲부정부패 척결 ▲청년 등 일자리 창출 ▲소득불균형 완화 등의 의제가 겹쳤다. 지방선거의 새 의제로 ▲공교육 강화 및 사교육비 절감 ▲재난안전 시스템 강화 등 교육과 안전이 떠올랐다.

서민경제 분야는 지방선거와 총선의 공통 의제지만 ▲공공보육시설 확충 및 저출산 대책 마련 ▲고령화 대비 사회안전망 구축 ▲주거문제 해결 등은 지방선거 의제로 추가됐다. 지방선거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상징인 만큼 유권자의 삶 개선과 관련된 현안을 더 중요하게 여긴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는 강원랜드 채용 비리 사건의 영향을 반영하듯 강원도와 제주도(26.6%)에서 부정부패 척결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대구·경북지역에서는 청년 등 일자리 창출(18.4%)을 더 중요하게 판단했다.

연령별로는 만 19~29세는 청년 등 일자리 창출(27%) 문제를 선호해 청년 세대의 가장 시급한 현안이 일자리임을 확인했다.

남성과 여성 모두 부정부패 척결을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했는데, 일자리 창출에서 여성이 16.6%로 남성의 12.7%보다 더 중요한 문제로 여겼다.

이광재 매니페스토본부 사무총장은 “유권자들이 자신과 관련한 의제를 더 선호하는 추세”라며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유권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답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KSOI의 이번 여론조사는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 포인트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8-04-16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