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산가족 상봉 마지막날] 북한 내 이산가족 ‘동요계층’으로 분류… 결혼 기피 대상

[이산가족 상봉 마지막날] 북한 내 이산가족 ‘동요계층’으로 분류… 결혼 기피 대상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5-10-26 18:10
업데이트 2015-10-26 1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감시받으며 농촌·탄광 등서 일해

남한 출신 북한 주민들은 어떻게 살까. 북측 가족들은 좋은 대우에 차별 없는 사회란 점을 강조하지만 실제는 다르다는 것이 탈북자들의 증언이다. 이산 상봉에서 일부 가족은 오랜만에 만난 남측 가족에게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고 있다. 1972년 ‘오대양호 사건’ 납북 어부인 정건목씨의 아내 박미옥씨는 지난 24일 남에서 온 시어머니 이복순 할머니에게 “행복하게 살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북측의 민복순씨도 남측 가족들에게 “김정은 장군님은 우리를 만나게 해 주셨습니다. 우리 힘을 합쳐 통일의 문을 열어 나가는 데 힘을 합칩시다”라며 틈만 나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위대성을 찬양했다. 북한 내 누구보다 정체성을 의심받는 계층이 남한 출신들이란 점에서 체제 선전은 곧 충성심의 척도가 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남한 출신 북한 주민들은 당국의 감시와 견제, 차별 속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서 사회주의 체제의 기본군중은 크게 ▲핵심계층 ▲동요계층 ▲적대계층으로 분류된다. 그중 남측 출신들은 당원이나 군(軍) 장교가 되는 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동요계층’에 해당되며 경우에 따라 최하위 신분인 ‘적대계층’으로 낙인찍혀 기본적인 사회 진출도 원천적으로 봉쇄당한다.

이렇다 보니 북한 주민 대부분이 기피하는 농촌과 탄광, 광산 등 험지의 최하위직에 몰리게 되고 당국의 의심의 눈초리 때문에 더욱 맡은 바 일을 열심히 해 몸을 혹사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또 한번 근무지가 정해지면 이직은 꿈도 못 꾸는 등 종신직에 가깝게 일을 한다고 전해진다.

이런 사회적 신분은 ‘결혼’이라는 ‘인륜지대사’에서도 나타난다. 대개 비슷한 사회주의적 신분을 가진 집안끼리의 결혼을 선호하는 북한 특성상 부모가 남한 출신인 경우 결혼에서도 기피 대상이다. 2009년 탈북한 김모씨는 “북한에서 결혼을 할 때 상대방 부모가 남쪽 출신인 경우 출세의 걸림돌로 보고 대개 결혼을 기피하게 된다”고 말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5-10-2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