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죽을 고비 세번… 후회 없습니다”

“죽을 고비 세번… 후회 없습니다”

입력 2011-12-06 00:00
업데이트 2011-12-06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발굴 인부 첫 훈장 김용만 반장

경주 천마총과 황남대총을 비롯한 각종 발굴 현장에서 직접 땅을 파는 ‘발굴 인부’이자 그들을 감독하는 ‘작업반장’으로 평생을 고고학 발굴에 투신한 김용만(80) 반장이 보관문화훈장을 받는다.

이미지 확대
김용만 반장
김용만 반장
●각종 굵직한 발굴현장에 평생 투신

문화재청은 문화유산 보호에 이바지한 공로가 큰 올해 ‘문화훈장’ 수훈자로 김 반장을 비롯해 3명을 선정했다.

올해로 8회째인 문화훈장 및 대한민국 문화유산상 수상자로 발굴 인부가 선정되기는 처음이다.

김 반장은 1945년 경주 양북초등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다. 경주 토박이인 그는 현장에서는 그냥 ‘용만 반장’으로 통한다. 1966년 경주 방내리 고분군과 1969년 경주 안계리 고분군 발굴을 시작으로 발굴 인부로서 고고학 조사와 인연을 맺었다.

이후 1971년 공주 송산리 고분군, 1973~1974년 경주 천마총과 황남대총, 1975~1976년 경주 안압지와 황룡사지, 1980~1996년 익산 미륵사지 발굴 등에 이르기까지 해방 이후 한국현대사를 대표하는 각종 굵직한 발굴 현장에 평생을 투신했다.

그러나 발굴조사 보고서에 그의 이름은 없다. 조사원과 조사보조원은 이름이 남지만 ‘용만 반장’과 같은 ‘발굴 인부’는 이름 없는 존재다.

75세 정년에 걸려 5년 전 은퇴한 그는 소감을 묻는 질문에 “감사할 따름”이라는 말만 연신 되풀이했다. ‘용만 반장’과 함께 경주 발굴 현장에서 젊음을 보낸 최병현 숭실대 교수는 “경주 발굴은 용만 반장이나 최태환 반장 같은 분이 다 했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닙니다. 그분들은 말이 발굴 인부지, 중국이나 북한에서처럼 ‘발굴대원’이라고 불러 드려야 합니다. 이분들의 업적은 문화훈장으로도 사실 부족합니다.”라고 말했다.

●안계리 고분군 발굴 땐 ‘해골 물’ 마셔

1969년 경주 시내에서 북쪽으로 약 20㎞ 떨어진 경주시 강동면 안계리 고분군을 발굴할 때 해골 물을 마셨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김씨는 “해골 물은 아니고 토기에 담긴 물을 마셨다.”며 웃었다.

발굴 현장을 오가다가 교통사고로 죽을 고비를 세 번이나 넘겼다는 용만 반장은 “그래도 문화재에 바친 내 인생에 후회는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1-12-06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