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위장탈북도 탈북?”…‘선정착’방식 공작원 재판

“위장탈북도 탈북?”…‘선정착’방식 공작원 재판

입력 2012-03-07 00:00
업데이트 2012-03-07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 “’위장탈북’ 자체로도 위험성 커” 변호인 “’위장탈북’은 탈북 수단이었을 뿐”

남한에 오기위한 수단으로 북한당국의 정착 지령을 받고 북한을 빠져나와 국내입국한 ‘위장탈북자’는 공작원일까, 탈북자에 해당할까.

북한 보위사령부의 지시를 받고 위장탈북해 남한에 정착하려 한 혐의(국가보안법위반)로 지난달 14일 기소된 A씨의 첫 공판이 7일 수원지법 형사제11부(이동훈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가운데 A씨의 국선변호인이 “(A씨가) 남한에 오기위해 위장탈북을 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을 고려해달라”고 선처를 호소했다.

변호인은 “A씨는 군에서 불명예제대를 하는 등 북한에서 사람답게 살 수 없는 형편이었다”며 “A씨의 위장탈북은 투철한 사회주의 사상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쉽사리 탈북할 수 없는 조건에서 남쪽으로 올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일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또 변호인은 “A씨는 아직 구체적인 지령을 받지 않고 정착만을 시도하던 상태”라면서 “죗값을 치르고 난 뒤에는 남한의 주민으로 살아가고 싶어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검찰측은 “A씨가 ‘선정착 후지령’(위장탈북 후 지령을 받아 공작활동을 펴는 것)방식으로 내려온 공작원이기 때문에 위장탈북이 성공했을 경우에는 그 위험성이 상당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검찰측은 “또한 북한이 ‘선지령 후정착’에서 ‘선정착 후지령’으로 방법만 바꾸었을뿐 대남공작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상황에서 A씨의 실형은 불가피하다”며 징역 및 자격정지 3년을 구형했다.

검찰에 따르면 북한군 소위 출신 A씨는 지난해 6월 보위부로부터 남파 임무를 부여받고 중국 등을 거쳐 같은해 8월 탈북자로 위장해 국내에 들어와 정착을 시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