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천안함 2주기] “천안함은 꼭 기억하시고 제발 우리들은 잊어주세요…사람들의 싸늘한 시선 무서워”

[천안함 2주기] “천안함은 꼭 기억하시고 제발 우리들은 잊어주세요…사람들의 싸늘한 시선 무서워”

입력 2012-03-23 00:00
업데이트 2012-03-2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족들 아물지 않는 상처

“저희는 웃지도 못합니다. 천안함은 기억하시고 (유족) 우리들은 잊어주세요.”

천안함 유족들은 2주기가 다가오자 “아픈 상처를 다시 헤집지 말라.”고 부탁했다. 2010년 실종자 가족협의회 대표를 맡았던 이정국(41)씨는 다만 천안함을 기억해 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천안함 전사자 추모집회  천안함 피격 사건 2주기를 나흘 앞둔 22일 서울 광화문 원표공원에서 열린 천안함 전사자 추모집회에서 한 참가자가 ‘북한동포해방’이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천안함 전사자 추모집회
천안함 피격 사건 2주기를 나흘 앞둔 22일 서울 광화문 원표공원에서 열린 천안함 전사자 추모집회에서 한 참가자가 ‘북한동포해방’이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이씨는 고 최정환 중사의 매형이다. 최 중사는 1999년 1차 연평해전에도 참전했었다. 먼저 세상을 떠난 아들, 동생, 남편을 가슴에 묻고 사는 유족들에게 3월은 ‘잔혹’ 그 자체다.

이씨는 “가족이 죽었다. 그것도 2년밖에 안 됐다. 부모님이 세상을 떠나도 몇 년간 슬픔이 가시지 않는데 5년이 지났냐, 10년이 지났냐.”라고 되물었다. 2년은 짧다. 고 임재엽 중사의 어머니 강금옥(57)씨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현충원에 묻힌 아들을 찾고 있다. 고 장진선 하사의 아버지 장만선씨는 “한달에 한번 현충원에 간다.”면서 “아들을 잊은 날이 없다.”고 말했다.

유족들은 세상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또 다른 감옥생활을 하고 있다.”고 억울해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유족은 “우리는 죄인”이라면서 “어디 가서 웃었다가 아들 목숨값으로 호의호식하며 잘 산다는 뒷말도 들었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사회가 슬픔을 강요하고 있다.”고 했다.

그렇게 하지 않아도 가슴 한편에는 먼저 떠나보낸 가족들이 남긴 멍 자국이 선명하다. 이씨는 “아내는 지금도 밥을 짓다가 눈물을 흘리고 명절 때도 어린 조카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고 어렵게 털어놓았다. 이어 “하지만 우리도 사람이라 기쁜 일이 있으면 웃게 된다.”면서 “다른 사람도 부모님 돌아가셨다고 계속 울기만 하는 건 아니지 않은가.”라고 말했다.

유족들은 어느새 “사람들이 무섭다.”고 했다. 고 김종헌 중사의 매부 최수동씨는 “좋은 일을 해도 밖에 못 알린다. 보상금 받아 돈이 남아돌아 기부한다는 이야기를 들을까 겁난다. 지난 연말에 유족들이 불우 이웃 돕기를 했는데 물건만 놓고 도망치듯 나왔다. 사람들의 입과 눈이 무섭다.”고 말했다.

유족들을 향한 시선이 따뜻한 것만도 아니다. 최씨는 “유족대책위 일을 했다고 일자리를 잃은 사람도 있다.”면서 “일상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처음에는 따뜻하던 시민들의 시선이 이제는 싸늘하게 변한 경우도 많다.”고 전했다.

유족들의 생활은 힘겹다. 유족모임 관계자는 “몸도 마음도 힘들다. 어떤 사람은 자살 시도를 하고 어떤 사람은 몸이 많이 아프다. 현충원에 가면 5~10명의 가족은 항상 만날 수 있다. 아들을 늘 가슴에 묻고 살아가는 분들이 많다.”고 씁쓸해했다.

천안함 유족 가운데 20~30명은 충격으로 건강이 상당히 악화됐다. 불면증과 우울증을 겪은 이들도 적잖다. 이씨는 정치권을 겨냥, “보수와 진보, 여야를 막론하고 유족들과 천안함 사건을 자신들의 정치적 입맛에 맞게 요리하는 게 안타깝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03-23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