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韓, 37개국 중 3번째로 ‘혈통 중시’

韓, 37개국 중 3번째로 ‘혈통 중시’

입력 2012-04-18 00:00
업데이트 2012-04-18 15: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나라가 37개국 중 3번째로 ‘혈통’을 중시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18일 열린 ‘제5차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에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국민의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대한 결과가 발표됐다.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수용성 조사가 실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는 지난해 12월23일부터 올 1월25일까지 전국 19~74세 총 2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유로바로메터(EB)·유럽사회조사(ESS) 등 국제비교지표를 활용한 이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정체성과 관련해 우리나라는 필리핀, 베네수엘라에 이어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통 중시비율을 보면 필리핀이 95%로 가장 높았고 베네수엘라 87.6%, 한국이 86.5%로 뒤를 이었다. 일본은 72.1%, 미국 55.2%, 스웨덴은 30%였다.

혈통 중시와 함께 ‘한국 내 거주’도 국민정체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한국어 사용’은 조사대상 국민의 90.7%가 중요하다는 응답이었다.

또 어느 국가든 다양한 인종, 종교, 문화가 공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문화공존’에 대해 유럽 18개국은 찬성 비율이 74%인데 비해 한국은 36%로 부정적으로 인식이 팽배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다문화의 한계’나 ‘일자리 감소’, ‘범죄율 상승’, ‘국가재정부담의 요인’이라고 보는 인식은 각각 39.4%, 30.2%, 35.5%, 38.3%로 유럽 전체 평균인 각각 68.9%, 59.4%, 42%, 55.2%에 비해 낮았다. 이는 우리나라가 유럽에 비해 다문화지향성은 낮지만 외국 이주민을 유럽만큼 실질적 위협의 대상으로는 인식하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국민 2500명 대상의 다문화수용성조사를 통해 산출된 다문화수용성지수(KMCI)는 51.17점으로, 다문화에 대해 전반적으로 중립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이 최초로 이뤄진 조사인 탓에 다문화수용성이 높고 낮음의 기준은 없지만, 수용성 상위 20%에 속한 국민의 평균지수가 70.89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향후 우리 국민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는 분석이다.

특히 젊은 연령층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53.93점)는 60대(47.63점)에 비해 약13%p, 대학 재학 이상 학력층(54.28점)은 중졸 이하 학력층(45.34점)에 비해 약20%p 높았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 대중매체 이용 홍보, 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 2012년도 시행계획’도 심의·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시행계획에 따라 정부는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역량강화 부분에 역점을 두고 총 53개 과제(총 925억원 예산 투입)를 추진하게 된다.

올해 추진하는 주요 사업은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 ▲결혼이민자의 안정적 정착 및 자립역량 강화 ▲국제결혼중개 관리 및 입국전 검증시스템 강화 등이다.

결혼이민자 자녀 중 정규학교 중도탈락자 및 중도입국자녀 등을 위해 한국어·일반교과과정·직업훈련 등을 함께 교육할 수 있는 다솜학교를 설치하고, 글로벌 선도학교 지정 확대를 통해 다문화가족 자녀의 한국어교육과 교과학습 지도 집중 지원한다.

또 국제결혼중개업 등록기준 강화(자본금 1억원 이상), 만 18세 미만 중개 금지 등을 내용으로 하는 ‘결혼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을 올 8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김황식 총리(위원장)는 “다문화·외국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차별은 사회의 다양성과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세계화 시대에 역행하는 것”이라며 “다문화는 이제 세계화 시대에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정부는 외국인에 대한 혐오증이나 부정적 인식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종합적인 개선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시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