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LA폭동 20주년] 美 흑·백 격차 커져 제2폭동 잠재…한·흑 신뢰 다져야

[LA폭동 20주년] 美 흑·백 격차 커져 제2폭동 잠재…한·흑 신뢰 다져야

입력 2012-04-25 00:00
업데이트 2012-04-25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인 재앙’ 재발 없으려면

1991년 3월 3일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백인 경찰들이 정지명령을 무시하고 도주한 흑인 남성 로드니 킹을 붙잡아 곤봉으로 집단구타하는 장면이 방송을 타면서 미국 사회가 발칵 뒤집혔다. 흑인들은 경찰의 인종적 편견에 의한 과잉진압이라며 반발했다. 하지만 이듬해 4월 29일 법원은 경찰들에게 무죄를 선고했고, 격분한 흑인들이 폭도로 돌변했다. 한인타운이 흑인 거주지와 근접해 있었던 데다 미 언론들이 한인 교포 두순자씨 사건을 집중 조명하면서 한인 상점들이 약탈의 집중적 표적이 됐다. 두순자씨 사건이란 그 전 해 두씨가 자신의 상점에서 음료수를 훔치려던 흑인 소녀와 승강이 끝에 주먹으로 안면을 수차례 가격당하자 권총을 발사해 숨지게 한 일이다. LA 흑인 거주지와 한인타운 일대는 거의 1주일간 무법천지로 방치된 끝에 주 방위군이 투입되면서 5월 4일 비로소 폭동이 진압됐다. 이 폭동으로 한인 1명을 포함해 55명이 사망하고 2383명이 다쳤으며, 1만 3379명이 체포됐다. 한인 피해 총액은 3억 5000만 달러(약 3980억원)로 LA시 전체 피해액 7억 1700만 달러의 절반에 달했다. 한인타운의 90%가 파괴됐고, 한인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오는 29일로 20주년을 맞는 LA폭동을 되돌아 보고 의미와 교훈을 짚어본다.
이미지 확대
1992년 4월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일어난 흑인폭동이 진압된 직후 LA에 사는 한인 교포들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화합을 다짐하는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1992년 4월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일어난 흑인폭동이 진압된 직후 LA에 사는 한인 교포들이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화합을 다짐하는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이미지 확대


■장태한 UC리버사이드大교수

이미지 확대
장태한 UC리버사이드大 교수
장태한 UC리버사이드大 교수
장태한(56) 미국 UC리버사이드대 소수민족학 교수는 지난 13일 버지니아주 한·미 과학재단에서 가진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제2의 LA폭동이 일어날 가능성은 여전히 잠재해 있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1974년 이민 왔으며 UC버클리대에서 ‘한·흑 갈등’을 주제로 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LA폭동 재발 가능성이 있다고 보나.

-그렇다.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고, 특히 흑백 간 빈부격차가 더 악화됐기 때문에 잠재적으로 폭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한인들이 다시 표적이 될 가능성도 있을까.

-LA의 경우 한·흑 관계가 많이 향상된 게 사실이다. 하지만 한인들이 여전히 흑인 상권을 많이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화약고를 안고 있다고 봐야 한다.

→한인과 흑인이 서로를 보는 시각이 20년 전에 비해 변했나.

-많이 변했다. 당시에는 서로 무시했다. 한인들은 흑인들이 빈민가에서 교육도 못받고 직업도 없으며 게으르다는 인식이 있었다. 흑인들은 한인들의 존재감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지금은 서로의 존재감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수준이다.

→한인 스스로 고쳐야 할 점은 없나.

-한인들은 단일 민족국가에서 왔기 때문에 다인종·다민족 국가에서 사는 법을 교육받지 못했다. 미국에서는 인종 문제가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특히 흑인을 상대로 장사하는 한인은 지역사회에 기부를 하는 등 신뢰를 쌓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한국도 이제는 다민족 국가로 진입하면서 갈등이 빚어지기 시작했다.

-교육과정부터 변해야 한다.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을 강화해서 어떻게 같이 살아갈지에 대해 가르쳐야 한다. 정부가 동화정책을 펴는 것은 잘못이다. 외국에서 시집 온 여자한테 한국사람이 되라고 동화교육을 시키는 건 다문화 정책이 아니다. 각자 고유한 문화와 언어를 인정하면서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돕는 게 다문화 정책이다. 하루속히 정책 변화를 이루지 못하면 앞으로 다문화 가정의 2세 교육 문제가 아주 심각해질 것이다. 그들이 제대로 교육받지 못하고 틀어지면 집단적으로 소외되면서 사회적으로 문제화되고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될 것이다. 미국 사회에서 흑인이나 라틴계의 수감비율이 높은데, 이들을 감옥에 넣어두는 데 1인당 연간 3만 달러 이상이 들어간다. 대학 보내는 비용보다 많다. 한국도 이런 문제에 대비하지 않으면 큰 낭패를 볼 것이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04-25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