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사할린 한인 대량학살’ 추정 기록 공개

‘日, 사할린 한인 대량학살’ 추정 기록 공개

입력 2012-08-14 00:00
업데이트 2012-08-14 14: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기록원, 러시아 정부 보고서 초안 입수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사할린 한인을 대량학살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러시아 정부의 1940년대 보고서 초안이 공개됐다.

정부의 관련 위원회는 이를 토대로 진상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할린에 강제동원된 한인 1만2천여명의 명부와 서신, 가족관계 관련 기록도 공개돼 앞으로 사할린 강제동원 관련 보상신청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국가기록원이 러시아 사할린 국립문서보존소에서 입수해 14일 공개한 1946년 러시아 정부 보고서 초안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사할린 서북부 에스토루 지역에 한인이 1만229명 살았지만 전쟁 후에는 5천332명밖에 남지 않아 50% 가량 감소했다.

러시아 정부는 한인 인구가 5천명 가까이 줄어든 이유로 피난이나 귀환과 함께 일본 군국주의자들의 한인 학살을 지목했다.

국가기록원 이강수 연구관은 “일본군이 5천명을 다 살해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러시아 정부는 한인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이유로 명확하게 일본군의 한인 학살을 지목했다”고 말했다.

자료를 분석한 건국대 한혜인 교수는 “해당 보고서 초안은 러시아 정부가 사할린을 점령한 후 기록한 것으로, 전시 중 군자료이고 적군 관련 정보이기 때문에 과장됐을 가능성은 있지만 인구감소 원인으로 일본군의 학살을 지목한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밝혀진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일본의 사할린 한인 학살은 1945년 8월 21~23일 일본 헌병과 경찰이 사할린 가미스카에서 남성 19명을, 미즈호에서 임신부와 어린아이를 포함해 27명을 무차별적으로 살해한 사례가 있다.

기존 대량학살 사례의 규모를 압도하는 이번 기록 공개로 추가 조사와 일본에 대한 보상 요구 등이 거세질 전망이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이를 계기로 진상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박인환 지원위원장은 “국가기록원과 긴밀한 협조하에 대량학살 진상조사에 착수할 것”이라며 “추가 증거자료 확보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또 러시아와 일본 등에서 일본이 강제동원한 1만1천211명의 사할린 한인 명부와 서신, 가족관계 및 활동, 귀환운동 관련 기록을 대거 확보했다.

이는 지금까지 일부 공개된 일본의 사할린 한인 강제동원 명부의 3~4배 규모이다. 서신과 가족관계 및 활동 관련 기록은 강제동원 사망ㆍ행방불명자 유족에게 보상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국가기록원은 설명했다.

지원위원회에 따르면 현재까지 사할린 강제동원 보상 신청건수는 2천225건이며, 이 중 보상금 지급 결정이 난 경우는 1천292건에 불과하다.

현재 일본 정부는 한인 사할린 강제동원자가 수천명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7만~8만명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수집한 1946년 러시아 중앙당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정부의 사할린 강제동원자는 2만2천817명으로 기록돼 있다고 덧붙였다.

한 교수는 “지금까지 사할린 한인 관련 명부 일부가 확인된 경우는 있지만, 명부와 서신, 가족관계 및 활동 등 다양한 형태의 관련 기록 일체를 총망라해 일괄 수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국가기록원은 이들 기록과 러시아 내에서 사할린 한인들의 귀환 문제를 언급하지 말라는 보도지침, 최초의 사할린 한인신문인 ‘조선노동자’, 쿠릴지역의 한인을 사할린으로 이주시키라는 당시 1급 비밀문서 등 사할린 관련 희귀 기록물을 19일까지 서울역사박물관 로비에서 전시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