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회복지사 그들의 현장을 가다] (3)도봉지역자활센터 박현우 팀장

[사회복지사 그들의 현장을 가다] (3)도봉지역자활센터 박현우 팀장

입력 2012-11-27 00:00
업데이트 2012-11-27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쟁만 강요땐 자활 어려워 ‘연대’하는 경제공동체 구축”

“우리 지역의 저소득층 주민들이 서로 연대하고 도우면서 살아가는 경제를 만들고 싶습니다.” 사회복지사 9년차인 박현우(37) 도봉지역자활센터 팀장은 사회복지사이자 지역 활동가다. 2009년부터 도봉지역자활센터에서 저소득층에 맞는 자활사업을 이끌어 오는 한편 지역 내 다른 단체들과 함께 지역사회에서의 새로운 경제를 구축하는 활동도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박현우(왼쪽) 도봉 지역자활센터 팀장이 26일 직원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박현우(왼쪽) 도봉 지역자활센터 팀장이 26일 직원들과 회의를 하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지역자활센터는 저소득층이 자활사업에 참여해 생계급여를 받고 나아가 취업까지 할 수 있도록 지자체별로 운영되는 곳이다. 도봉지역자활센터는 지역 저소득층 주민들을 대상으로 인큐베이터사업단, 자전거재활용사업단, 영농사업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박 팀장은 영농사업단을 담당하고 있다. 경기 양주시에 밭을 얻어 직접 고추, 배추 등을 재배한다.

자활은 과거에는 빈민운동을 했던 사회활동가들의 영역이었다. 시민단체 활동가나 대학생, 종교단체 등이 판자촌, 달동네 등으로 들어가 주민들과 함께 자활공동체를 꾸려왔다. 지금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근거해 제도화됐고 사회복지사들이 투입돼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과거 빈민운동 시절의 흔적이 남아있다고 박 팀장은 귀띔했다. “이곳의 사회복지사들은 스스로에게 ‘활동가’라는 표현을 많이 씁니다. ‘복지’라기보다 ‘활동’에 가까운 마음으로 접근하죠.”

사회복지사는 보람과 사명감 없이는 버티기 힘든 직업이다. 본연의 복지 업무부터 각종 행정 업무, 서류 업무까지 일의 강도는 높지만 처우는 그에 한참 못 미친다. “사회복지사로서 힘든 점은 없느냐.”는 질문에 박 팀장은 “스스로 재충전을 하고 공부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이겨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센터를 거쳐가는 저소득층 주민들을 보는 것이 힘의 원천이 된다.

그가 힘들어 하는 문제는 대부분 외부에 있다고 박 팀장은 말했다. “이곳을 찾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일반 노동시장에서 경쟁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지금의 정부 정책은 이들을 자꾸만 시장경제로 몰아내려 해요. 생산뿐 아니라 협동과 나눔이 필요한데, 지금의 제도는 이들에게 효율과 경쟁을 강요하죠…그럴 때마다 ‘진정 자활을 위한 정책인가’라는 생각을 종종 합니다.”

최근 도봉지역자활센터를 중심으로 도봉지역에서는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를 만드는 운동이 한창이다. 도봉지역의 9개 단체가 모여 경쟁이 아닌 연대와 호혜에 기반한 새로운 경제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는 협동조합의 방식으로 지역 내에서 할 수 있는 각종 사업들을 구상 중이다. 여러 차례에 걸친 강의와 토론, 워크숍을 통해 지역을 되살리기 위해 필요한 사업이 무엇인지 머리를 맞대고 있다.

“경제적 약자들은 각개전투를 벌여서는 살아갈 수가 없습니다. 서로 연대하고 도와야 살 수 있죠.” 개별 지역 단위로 사회적 경제를 구축해 점차 퍼져 나가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박 팀장은 “개천이 강이 되듯 다른 지역으로 확산돼, 지금의 경쟁주의에 금이 가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2-11-27 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