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전자변형작물 전국 44곳서 자생… 생태계 비상

유전자변형작물 전국 44곳서 자생… 생태계 비상

입력 2012-12-03 00:00
업데이트 2012-12-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년간 조사… 유통중 유출

사료용 등으로 수입한 유전자변형작물(GMO, LMO)이 유통 과정에서 자연으로 유출, 자생하는 사고가 정부 조사에서만 3년간 40여건이 확인됐다. 환경단체는 GMO ‘구분유통’ 관리를 강화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일 2009~2011년에 항만, 사료공장, 운송로 등 GMO 유출 우려가 있는 주변 505개 지점을 조사한 결과 자생하고 있는 GMO 식물 44건과 관련 유전자를 전국적으로 확인했다고 ‘LMO 자연환경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연구’ 보고서에서 밝혔다.

유전자 검사까지 거쳐 GMO 생태계 유출 사고를 최종 확인한 정부 보고서는 처음이다. 연구진은 경작지가 아닌 항만, 사료공장, 가공공장, 축산농가, 축제지, 운송로 주변 등 종자 낱알이 유출되기 쉬운 구역에서 자라고 있는 콩, 옥수수, 유채, 면화가 있는지 조사했다.

이들 4개 작물은 국내에 많이 수입되는 GMO 작물이다. 연구진은 2009년과 2010년에 GMO로 의심되는 작물 각각 127건과 228건을 발견했고 작년에는 조사 방식을 확대해 407건을 찾아냈다.

이 중 1단계 단백질 검사와 2단계 유전자(DNA) 확인까지 거쳐 GMO로 최종 확인된 작물은 2009년 19건, 이듬해 12건에 이어 지난해 13건이 나왔다. 2009년에 자연으로 유출된 GMO 작물은 유채와 면화가 각 1건잉고 나머지는 옥수수(17건)였으며, 2010년에는 옥수수와 면화가 각각 8건과 4건이 확인됐다. 지난해 확인된 13건의 작물별 내역은 내년 초 공개할 방침이다. GMO 작물의 자연계 유출 사고는 전국적으로 발생했다. 발견 장소는 사료공장 주변과 도로변이 많아 유통 중에 낙곡 형태로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과학원은 “확인된 GMO 작물은 사료공장 종사자가 재배한 1건 외에는 대부분 단독으로 자라고 있는 형태였다.”면서 “군락을 이루는 경우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이 유채꽃 단지(축제지)에서 발견한 유출 의심 사례 65건 가운데 1차 단백질 검사에서 GMO로 추정되는 작물이 23건이나 나와 유채꽃 축제장에서 유출됐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2-12-03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