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화약고’ 오명, 여수산업단지, 대책은 없나

‘화약고’ 오명, 여수산업단지, 대책은 없나

입력 2013-03-15 00:00
업데이트 2013-03-1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4일 발생한 전남 여수산업단지 내 폭발사고를 계기로 ‘화약고’로 일컬어지는 여수산단에 대한 안전진단과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여수산단은 GS칼텍스, LG화학, 여천NCC, 호남석화, 금호석화, 한화케미칼, 남해화학, 한국바스프 등 석유화학업체 60여개를 포함해 총 220여개 기업이 자리한 만큼 그에 걸맞은 재난관리체계가 있어야 하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다.

지난 1967년 호남정유 공장 착공을 시작으로 조성된 여수산단은 그동안 인명피해 사고가 끊이질 않았다.

2000년 8월에는 호성케멕스㈜에서 폭발사고가 발생, 6명이 숨지고 18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지난 1989년 10월에도 럭키화학 공장 폭발로 1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치는 대형 참사를 빚었다.

이 밖에 크고 작은 폭발이나 화재, 가스누출 등으로 지금까지 200여건에 육박하는 각종 사고로 1천여명이 넘는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한국가스안전공사 등 관계 기관이 나서 안전점검을 시행하지만 안전과 직결된 부실 사례는 끊임없이 적발되고 있다.

실제로 많은 공장이 제조공정 펌프 부분의 패킹이나 밸브가 낡아 있는데도 교체를 소홀히 하는 등 사소한 관리 부실이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여수산단에 들어선 공장 대부분 유독 물질을 취급하고 있는데다 입주시기도 1970년대로 시설이 낡아 ‘화약고’라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있다.

대형 장치업체인 LG칼텍스정유, 남해화학, 호남석화, 금호석유 등의 공장은 규모도 커 상대적으로 대형사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지적됐다.

여수 지역 환경단체들도 “여수산단은 석유화학공장이 밀집돼 사고가 날 경우 대형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지만 직원들의 안전의식이나 근본적인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라고 주장했다.

이 지역 기업, 여수시, 소방서 등이 가장 걱정하는 문제는 이처럼 위험성이 높은 석유화학단지의 재난안전관리체계가 80여 개가 넘는 관련 개별법을 근거로 3원화돼 있다는 점이다.

유해화학물은 유독성, 환경오염성을 기준으로 환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따라 환경부에서, 독성가스는 고압가스관리법 등을 적용해 자치단체가, 위험물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해 소방서에서 따로 관할하고 있다.

석유화학업종 성격상 공장 1곳에서 유해화학물질·독성가스·위험물 3종 세트를 모두 취급하는 경우가 허다해 사고 전 안전관리나 사고가 날 경우 관련 당국이 따로 노는 상황이 연출될 수밖에 없다.

현행 관련법은 재난안전관리기본법, 산업안전보건법, 소방기본법, 전기사업법, 고압가스관리법, 에너지이용합리화법 등 80여개가 넘어 개별법에 따라 해당 기관별 대처도 달라진다.

재난 후 효과적이고 원활한 협력체계를 통한 재난정보 공유, 초동대응 및 응원·지원 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구조다.

이에따라 ‘3원화 된 재난재해 안전관리체계에 대한 일원화 대수술’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제기됐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는 상태다.

여수산단이 ‘화약고’의 오명을 벗고 주민들의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이 아니라 전문기술진들이 참여하는 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