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공계 ‘박사 백수’ 구하기… 출연硏 포닥 1000명으로

이공계 ‘박사 백수’ 구하기… 출연硏 포닥 1000명으로

입력 2014-02-03 00:00
업데이트 2014-02-03 0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개기관 현재 인원의 7배…근무 연수 3~5년으로 늘려

이공계 기피 현상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이공계 ‘박사 백수(白手)’가 줄어들 전망이다.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현재 133명 규모인 19개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박사 후(後) 연구원’(포닥·Post-Doc)을 내년부터 최대 1000명으로 늘리는 ‘국가연구인력 플랫폼 구축방안’을 최근 마련하고, 이르면 이달 중에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할 방침인 것으로 2일 확인됐다. 포닥은 이공계열 박사 학위 취득자들이 정규직업을 갖기 전에 일정액의 연봉을 받고 출연연·대학·기업 등에서 현장 경험을 쌓는 제도다.

자문회의가 확정한 방안에 따르면 출연연 소속 박사 후 연구원을 현재의 7배 정도인 1000명으로 확대하는 것 이외에 근무 기간도 현행 2년에서 3~5년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들은 출연연에서 3000만~5000만원의 연봉을 받고 연구원으로 일하게 돼 상당 기간 실업자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다.

2011년 현재 대학(41.6%), 공공연구소(35.9%), 기업(18.5%) 등에서 박사 후 연구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매년 5000명가량 배출되는 이공계 박사 학위자 중 이 제도의 수혜자는 4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공계 박사들 가운데 10% 정도는 취업을 못하고 34% 정도는 비정규직인 것으로 학계는 추산하고 있다. 이번 자문회의의 안은 미취업자 대부분을 출연연에서 흡수한다는 것이다. 이럴 경우 이공계 박사 학위자들은 실업 공포 없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고, 출연연은 고질적인 연구인력 부족 현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출연연 산하에 기업연구센터와 대학연구센터가 설립된다. 출연연과 기업·대학과의 연구 주제·시설 수준의 격차를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이장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정책연구소장은 “기업 소속 연구원이 출연연에서 경험을 쌓고, 출연연 출신이 기업에 가서 일하면 기업과 출연연 간의 자연스러운 교류가 가능해지고 출연연 기술의 민간 이전도 쉬워질 것으로 본다”며 “대부분의 대학에는 충분한 연구시설이 갖춰져 있지 않은데 대학 연구원들이 출연연의 좋은 시설을 활용할 수 있다면 과학기술 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예산을 인력 확충 쪽으로 편성할 경우 1인당 연구비 증액보다 기대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자문회의는 보고 있다. 2008~2012년 출연연의 전체 예산은 29.7% 늘어났지만 정부 부처의 연구원 수 제한 조치에 따라 연구원 수는 7.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자문회의 관계자는 ”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1인당 연구비 지급액보다 연구인력 규모가 연구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면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부족한 우수 연구인력을 박사 후 연구원 제도를 통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2-03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