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카드복제 통보받고도 두 달 뭉갠 금감원

[단독] 카드복제 통보받고도 두 달 뭉갠 금감원

입력 2014-03-24 00:00
업데이트 2014-03-24 04: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전주유소 복제카드 피해

금융감독원이 경찰로부터 ‘대전 주유소 복제 카드 피해’ 내용을 통보받고도 두 달여간 뒷짐만 지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경찰로부터 피해 고객 현황을 통보받고도 한 달여나 뒤에 각 카드사에 ‘빈(BIN) 번호’를 알려주고 어느 카드사인지를 확인해 달라는 공문을 보냈으며 이후 한 달여 뒤 각 카드사에 고객 피해 예방 조치를 하라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금감원의 늑장 대응으로 두 달여간 고객 피해가 더 늘어났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어 ‘뒷북 금감원’이라는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 금감원의 무능은 카드 사고 관련 전문가가 없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23일 경찰과 금감원 등에 따르면 경찰은 대전 주유소 복제 카드 피해 신고를 삼성카드로부터 접수하고 지난해 12월 2일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한 달 넘게 수사를 진행, 주유소 직원들이 고객들의 카드를 몰래 복제해 1억여원을 부정 사용한 사실을 파악하고 지난 13일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경찰은 수사 과정에서 각 카드사에 피해 사실을 통보했고 지난 1월 17일 금감원에도 카드 고객들의 복제 카드 피해 상황을 고지했다. 금감원은 피해 상황을 접수하고도 한 달여나 뒤인 2월 중순쯤에야 각 카드사에 BIN 번호를 알려주고 피해 고객 카드가 어느 카드사 것인지를 확인해 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더구나 금감원은 이후 한 달여 뒤인 3월 초쯤 경찰 수사 결과 발표를 코앞에 두고 각 카드사에 ‘고객들에게 피해 사실을 알리고 피해 조치를 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금감원 관계자는 “1월 중순쯤 경찰로부터 카드사 구분이 안 돼 있는 피해 현황을 통보받았다”면서 “3월 초에 고객 정보가 어느 카드사 것인지 확인이 돼 각 카드사에 ‘고객들에게 피해 사실을 알린 뒤 해당 카드 사용을 정지하고 재발급받을 것을 안내하라’고 통보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유출된 카드 정보를 전 카드사에 보내 확인하게 하면 빨리 파악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카드사들 사이에 고객 정보가 서로 노출되게 된다”면서 “유출된 카드 정보가 어느 카드사 것인지 금감원에서 ‘자체적으로’ 확인해 각 카드사에 통보하느라 기간이 길어졌다”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한 카드사 직원은 “금감원이 경찰로부터 복제 카드 내용을 통보받은 뒤 한 달쯤 지난 2월 중순쯤에야 BIN 번호를 주고 어느 카드사인지 확인해 달라는 문서를 보냈다”면서 “카드사에 전화로 BIN 번호를 불러 주고 해당 카드사가 맞는지만 물어보면 파악하는 데 하루도 걸리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다른 카드사 직원은 “금감원이 늑장 대응하는 동안 불법 사용에 따른 고객 피해는 누가 책임지느냐”면서 “금감원이 최근 5, 6년간 카드 사고 관련 전문가를 뽑지 않아 전문가가 없는 점도 뒷북 대응의 한 요인일 것”이라고 꼬집었다.

경찰의 피해 현황 통보 당시는 국민, 농협, 롯데 등 카드 3사의 고객 정보 유출 사건으로 금융당국이 여론의 뭇매를 맞을 때였다. 금감원이 카드 복제 피해 사실을 감춘 건 피해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면 더 거센 역풍을 맞을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용어 클릭]

■빈(BIN) 번호는 카드 번호 16개 가운데 앞자리 6개(1234-56xx-xxxx-xxxx)를 말한다. 이 6자리는 해당 카드가 어느 나라의 어느 카드사에서 발급됐는지, 개인 카드인지 법인 카드인지를 알려주는 번호다.
2014-03-24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