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망자 1명 줄은 6명… “대피방송 못 들었다” 파문 예상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망자 1명 줄은 6명… “대피방송 못 들었다” 파문 예상

입력 2014-05-26 00:00
업데이트 2014-05-26 1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경기 고양종합터미널 건물 큰 불
경기 고양종합터미널 건물 큰 불 26일 경기도 고양시 고양종합터미널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독자제공)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망자 2명 줄은 5명… “대피방송 못 들었다” 파문 예상

26일 오전 발생한 경기 고양시 고양시외종합터미널 화재 사고 사망자가 7명에서 5명으로 줄었다가 다시 6명으로 늘었다.

경기 북부 소방본부는 이날 일산백병원과 동국대병원으로 후송된 등 2명이 애초 현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파악하고, 사망자를 7명으로 발표했지만 병원 응급실에서 심폐소생술(CPR)로 살아났다면서 사망자 수를 정정했다.

하지만 동국대 일산병원에서 CPR로 호흡을 되찾은 1명은 결국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사망 판정을 받았다.

소방본부는 다시 사망자 수를 정정해 오후 2시 현재 6명이라고 밝혔다.

그 사이 부상자 수는 늘어 40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소방에서 사망은 추정이고 사망 판정은 의사가 한다”며 “부상자 상태가 시시각각 변하고 일부 중상자 가운데 고령자들이 있어 추가 사망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소방방재청은 인명피해가 커지자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 사고 수습 지원에 나섰다. 경찰은 화재원인, 소방시설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안전수칙을 지켰는지 등을 수사하고 있다.

이번 고양종합터미널 화재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119소방대에 의해 20여 분만에 진화됐다. 일산·고양·김포 등 3개 소방서의 소방차 30여 대와 소방요원 120여 명이 현장에 출동해 화재를 진압하며 인근 교통을 통제해 터미널 주변이 큰 혼잡을 빚었다.

화재 당시 터미널과 쇼핑몰 등 건물 내에는 개점을 준비하는 직원과 승객 등 수백명이 있었으며 불이 나자 긴급 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불이 나자 3호선 전철은 터미널 인근 백석역에서 정차하지 않고 통과했으며 이날 오전 10시 24분 정상 운행됐다.

이번 고양버스터미널 화재 원인은 건물 지하 1층에서 진행 중이던 푸드코트 용접공사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당국과 경찰은 종합터미널 지하 1층 푸드코트 공사현장에서 용적 작업을 하던 중 불꽃이 튀어 화재가 난 것으로 보고 있다. 한 현장 근로자는 경찰 조사에서 “용접을 하는 과정에서 갑자기 불이 번졌다”며 “용접작업 전에 가스밸브를 차단했지만 제대로 확인은 하지 못한 것 같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현장에선 푸드코트 입점을 앞둔 점포의 인테리어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며 가연성 자재가 다수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불이 나 현장에서 탈출한 시민들은 말 그대로 아비규환 상태였다고 말했다.

한 시민은 “불이야 소리가 곳곳에서 나고, 검은 연기가 자욱해 숨을 쉴 수 없었다. 출구를 못찾아 소리 지르고 아수라장이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특히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들 대부분은 대피 안내 방송을 듣지 못했다고 이야기했다.

또 다른 시민은 “사이렌 소리 같은 것만 들리고 대피 방송은 안 들렸다”며 “갑자기 ‘꽝’ 떨어지는 소리가 났는데 엘리베이터 추락 소리인 것 같았다”고 덧붙였다.

고양종합터미널은 지하 5층, 지상 7층, 전체면적 2만여㎡ 규모로 하루 최대 버스 250대가 이용할 수 있는 전국 연결 대중교통망이다. 또 고양종합터미널 안에는 홈플러스를 비롯해 영화관, 쇼핑몰, 창업지원센터 등이 입주해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