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기획] [보복운전은 범죄다] “날 모를 걸” 난폭한 익명성…“시간은 돈” 이기적 조급증

[단독] [기획] [보복운전은 범죄다] “날 모를 걸” 난폭한 익명성…“시간은 돈” 이기적 조급증

오세진 기자
입력 2015-07-07 23:22
업데이트 2015-07-08 02: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 왜 운전대만 잡으면 돌변할까

익명성… 보복운전 심리학







왜 운전대만 잡으면 멀쩡한 사람들도 지킬 박사와 하이드처럼 이중적인 태도와 모습을 보이는 것일까.

보복운전 가해자들은 감정 조절에 미숙하거나 일종의 분노조절 장애를 갖고 있다는 인식이 일반적이지만 여건에 따라 누구나 보복운전의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을 전문가들은 내놓고 있다.

홧김에 보복운전을 해도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운전석이라는 공간 안에 자신을 감출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익명성’과 자신과 차량을 동일시하는 심리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배상훈 서울디지털대 경찰학과 교수는 7일 “일상생활에서는 계층, 지위, 연령, 대인관계 등의 영향으로 행동의 제약을 받지만, 도로에서는 차와 차로만 마주하기 때문에 분노의 감정을 보복운전 등으로 표출하는 데 거부감이 덜 드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류준범 도로교통공단 연구원은 “평소에는 하지 않는 무례한 행위도 상대방이 자신의 존재를 알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거나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정보가 없다는 확신이 들면 자신의 감정을 쉽게 표출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보복운전 행위가 각 개개인의 성향 측면에 기인하기보다는 누구나 충동적으로 일으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차를 자신과 동일시하거나 자신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인식하는 문화가 강한 점도 보복운전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요인으로 꼽힌다. 배 교수는 “차에 자기 자신을 투영하는 정도가 강할수록 상대가 깜빡이를 켜지 않고 갑자기 끼어드는 행위에서도 모멸감을 느끼고 상대도 당해보라는 반발 심리가 강하게 작용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차의 크기에 대한 과시나 고급 외제차를 몬다는 우월감도 보복운전의 심리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복운전 행위가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심각한 범죄 행위라는 사회적 인식을 분명하게 세우는 일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빨리빨리… 보복운전 사회학

보복운전 속에 숨어 있는 ‘사회적 코드’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과다한 우리 사회의 경쟁의식과 ‘빨리빨리’ 문화, 이기주의가 결합한 병리 현상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도로를 달리기 위한 운전 기술만 강조될 뿐 그에 맞는 운전 매너와 타인을 배려하는 교육 등은 등한시하는 사회적 인식 부족도 한몫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7일 “시간이 곧 돈이 되는 ‘시간의 경제’, 경쟁 사회의 심화 등으로 ‘바르게 살면 나만 손해 본다’는 인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크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임 교수는 “보복운전에서 드러나듯 누군가 내 영역을 침범하면 ‘당하지만은 않겠다’며 즉각적으로 맞대응하는 것도 경쟁과 이기주의가 낳은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한국인들의 운전 습관에 뿌리박힌 이른바 ‘3급’도 보복운전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제시했다. 김 교수가 가리키는 ‘3급’은 급출발, 급가속, 급정지를 뜻한다. 그는 “급변하는 사회 발전을 교통 문화가 따라잡지 못하는 전형적인 ‘문화 지체’ 현상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운전자 간의 ‘불통’도 상대를 이해하기보다는 짜증이나 분노부터 느끼게 만드는 요인이다. 이는 보복운전 가해자들이 변명하는 “상대가 새치기 등 얌체 짓을 하고도 미안하다는 신호 한번 주지 않았다”고 항변하는 모습에서도 엿볼 수 잇다.

김상옥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운전자가 차 안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클랙슨과 깜빡이밖에 없는데 그마저도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다 보니 보복운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한다. 시장 조사 전문업체 트렌드모니터가 지난 4월 보복운전 가해자 1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가해자 10명 중 8명은 ‘상대방 운전자가 미안함을 표현했다면 보복 및 위협 운전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답변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15-07-08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